섹션

지난달 무역수지 23억弗 흑자 전환

2월 무역수지가 수출 회복에 힘입어 한 달 만에 흑자로 전환했다.

지식경제부가 1일 발표한 '2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이 작년 같은 달보다 31.0% 증가한 332억7000만달러, 수입은 36.9% 증가한 309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23억3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지난 1월 4억6000만달러 적자에서 흑자 전환했다. 지경부는 "기존 수주선박의 순조로운 인도, 전월대비 조업일수 2일 감소에 따른 원유 수입 감소 등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수출회복과 관련해서 지경부는" 신흥시장 중심의 수요확대 및 선진시장의 점진적으로 수요가 회복되면서 수출이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고 풀이했다.
 
품목별로 반도체 118.4%를 비롯해 자동차부품 89.1%, 액정디바이스 60.3%, 석유화학 51.6%, 자동차 32.9%, 선박 15.0% 등 주력품목들은 작년 같은 달 보다 큰 폭의 수출 증가세를 보였다. 다만,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20.0% 감소했다.

특히 지난달 1일부터 20일까지 지역별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중국 37.7% 아세안 31.0%, 일본 20.4%, 미국 13.5% 등 개도국과 선진국 수출 모두 확대됐다.

유럽연합(EU) 수출은 3.7% 감소했지만, 1월과 비교했을 때 EU 수출은 3.3% 증가해 그리스 등 남부유럽 재정위기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수입은 경기회복, 유가상승에 따른 원유 등 수입증가와 반도체 장비 등 수출용 설비도입 증가로 증가했다는 것이 지경부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원유와 석유제품이 각각 56.9%, 102.5%로 크게 늘었고, 비철금속도 126.3% 증가했다. 수출용 설비부품인 반도체 제조장비, 자동차부품이 각각 63.6%, 71.2% 증가하는 등 자본재수입과 소비재도 34.2%, 49.1%로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지경부는 3월 수출과 관련해 "그리스 등 남부유럽 재정위기, 미국․중국의 긴축 가능성 등 불안요인이 잠재되어 있다"라면서도 "해외수요 회복에 따른 선박,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력품목 수출확대 등으로 월별 두 자리 수 무역흑자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지경부는 미국·중국의 긴축 가능성 등 기업들의 수출리스크 확대, 무역금융애로 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수출입상황 모니터링 및 수출총력지원체제를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최근 남부유럽 경제위기로 인한 수출 감소가 타 유럽 등의 수출까지 부정적인 영향이 파급되지 않도록 수출보험·해외마케팅 지원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