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후 우리 주부들이 고기, 라면 지출은 늘리고 냉동식품과 화장품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닐슨컴퍼니와 공동으로 전국 3163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소비자 장바구니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주부들의 장바구니가 '실속형 소비'로 바뀌었다.
미국발 금융위기가 시작됐던 2008년에 비해 지난해에는 축산물(10.9%), 수산물(6.8%), 라면(4.8%), 농산물(1.6%) 소비가 늘었다. 반면, 냉동·냉장식품 소비는 14.0%, 이·미용품은 12.8%, 주류는 6.2%가 줄어들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30대 가정은 축산물 소비가 두드러졌으며, 40·50대는 냉동·냉장식품에 들어가는 지출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주부는 축산물(39.4%), 농산물(9.4%), 음료(9.1%) 등을 더 사고 이·미용품(-5.7%) 소비는 줄였다. 30대 주부 역시 축산물(14.0%), 라면(8.4%), 농산물(6.5%) 순으로 소비를 늘렸고 냉동·냉장식품(-0.3%)은 소폭 줄였다.
40대 주부는 냉동·냉장식품(-23.7%), 이·미용품(-17.5%), 음료(-8.2%) 등의 소비를 줄였다. 50대 역시 냉동·냉장식품(-27.4), 이·미용품(-20.5%)을 덜 샀으며, 다른 연령대에 비해 주류(-16.4%)의 감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 측은 "경제위기로 외식은 줄이고 집에서 직접 조리를 하는 비중이 늘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라며 "또한 최근 웰빙 트렌드에 따라 냉장·냉동식품의 소비를 줄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추세는 20, 30대 가정 등 젊은층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며 "경제위기로 쇼핑의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특히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40·50대의 장바구니 무게는 줄었지만, 20·30대는 오히려 늘어난 점이 눈에 띈다. 경제위기 후 1년간 40대 가정은 -4.0%, 50대는 -1.1%로 장바구니 지출이 줄어들었지만, 20대는 8.1%, 30대는 4.2% 늘어났다.
한편, 소득계층별 양극화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평균소득 350만원 이상 가계에서는 장바구니 지출을 3.5% 더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 200만원 미만 가정은 -2.9%, 200~350만원 가구는 -1.4% 지출을 줄인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