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를 맞아 융합제품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관련 제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1346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융합산업 실태와 애로요인' 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41.0%가 융합제품의 상업화 과정에서 시장 출시가 늦어진 적이 있다고 밝혔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비중이 45.6%이 가장 높았다. 건설업(32.5%)과 서비스업(29.8%)이 뒤를 이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관련법령이나 기준이 미비해 융합상품의 상업화가 더뎌지는 사례도 빈번했다.
대기업 4곳 중 1곳은 제품개발이 이미 완료됐음에도 적용기준 미비, 불합리성 등으로 해당 제품의 인허가가 거절되거나 지연됐다고 응답했다.
출시 지연으로 인한 손실액도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의 30.4%는 출시 지연에 따른 손실 추산액이 '1억 원 미만', 27.5%는 '1억~10억 원 미만'이라고 답했다.
융합제품 확산과 융합산업 활성화를 위한 별도 지원법령의 제정 여부에 대해 91.5%의 기업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필요없다'는 기업은 8.5%에 불과했다.
융합 관련 지원법이 제정되면 반드시 포함돼야 할 사항으로는, '관련규정이 없는 융합제품에 대한 신속한 인허가 허용'(26.9%)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규제 및 애로 상시 발굴·개선 체계 구축'(25.3%), '전문인력, 기술자문, 컨설팅 등 지원확대'(21.0%), '융합제품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13.7%), '융합산업 전담기관 설치'(8.3%), '융합제품 개발에 필요한 타인의 특허권 사용'(4.8%) 등을 꼽았다.
박종남 대한상의 조사2본부장은 "최근 기술과 산업간 융합은 기업의 미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중요한 키워드로 부각되고 있다"며 "법제도적인 측면에서의 한계가 저해요인으로 지적된 만큼 새로운 법령 제정 등의 조치도 검토해볼만 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