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자연자원이며 다른 자원과 달리 대체재가 없는 만큼 에너지보다 높은 국가안보(water security) 차원의 문제다"
이명박 대통령은 ‘40주년 지구의 날'을 맞아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4차 환경을 위한 기업 정상회의(B4E)' 기조연설을 통해 전 세계적인 물 부족 현상을 언급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2030년 세계 인구의 40%가 만성적 물 부족에 직면할 것이라는 한 연구결과를 언급하면서 물관리의 3대 대책으로 ▲물 공급량 자체의 확대 ▲수질개선과 재활용 등 기존 물 사용의 생산성 제고 ▲물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 ‘물 집약도(water intensity)’가 낮은 경제구조로의 이행을 들었다.
이 대통령은 특히 한국은 생명보호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대표적인 사업으로 4대강 사업을 뽑으면서 "오는 2012년 한국을 방문하게 되면 그 성과를 눈으로 생생히 체험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 대통령은 "'4대강 살리기' 사업을 통해서, 오염된 주요 강의 질을 2급수로 개선해 맑고 깨끗한 물이 넘실대는 건강한 강으로 되살릴 것"이라며 "핵심 수자원을 13억t 이상 늘려 미래의 물 부족을 완전히 해소하는 동시에 재사용과 효율화를 통해서 물 생산성도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와 함께 지난해 12월 코펜하겐 당사국 총회에서 약속한 '글로벌 녹색성장연구소(GGGI)' 설치와 관련해 "오는 6월 출범하게 될 GGGI는 장차 기후변화의 도전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를 모색하는 국제적 자산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또 참석자들에게 "21세기 지구가 직면한 환경위기를 극복하고 녹색성장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달성할지는 결국 여러분의 '녹색 기업가정신'에 달려 있다"면서 "우리의 녹색성장 역시 궁극적으로, 정부보다는 기업가 여러분들이 펼쳐나갈 새로운 세계"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기조연설을 마친 뒤 모하메드 나시드 몰디브 대통령과 바라트 자그데오 가이아나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대통령은 해수면 상승으로 국토의 존립까지 위협받고 있는 두 나라의 상황을 전해듣고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또 이들 대통령을 포함한 6명의 ‘지구환경대상’ 수상자들을 찾아 격려했다. 녹색생활화의 솔선수범(Me First)을 강조해온 이 대통령은 이날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행사 취지를 살리는 차원에서 승용차 대신 버스를 이용해 행사장에 참석했다.
또 이날 행사 진행을 위해 필요한 차량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동원됐고, 터치 스크린을 활용해 종이 사용도 자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