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퇴직연금도 적립·장기·분산 법칙 통해"

퇴직연금에서도 적립식 장기분산투자가 안정적이고 우수한 수익률을 기록한다는 원칙이 통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6일 미래에셋증권은 1년 이상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을 가입한 1만1515명을 대상으로 투자기간, 자산, 매매형태 등을 분석한 연구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퇴직연금 1년 이상과 3년 이상 가입자의 수익률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1년 이상 가입자는 24.22%의 상대적으로 높은 변동성을 보였지만 3년이상 가입자는 변동성이 15.39%로 대폭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립식 장기투자가 변동성을 줄여주며 안정적인 수익률을 실현하는 셈이다.

미래에셋증권은 분산투자시 수익률이 높다는 원칙도 퇴직연금시장에서 유효하다고 전했다. 증권사에 따르면 원리금보장형자산에만 투자한 3년이상 가입자의 수익률은 평균 5.24%였으나 주식편입비중을 20%∼40%로 높여 투자자산을 분산했을때의 수익률은 9.69%로 조사됐다.

마켓타이밍을 노린 교체매매는 성공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고 미래에셋증권은 설명했다. 이에 따르면 3년 이상 가입자 1879명 중 8명이 손실을 기록했는데 이들은 주가하락기에 손실난 실적배당상품을 매도하고 원리금보장상품으로 교체하면서 손실을 얻은 사람들이었다.

고재현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자산운용컨설팅팀 팀장은 "퇴직연금에 있어서 퇴직연금사업자가 최초에 제공하는 자산배분컨설팅이 매우 중요하다"며 "단기적인 시장환경변화에 흔들리지 말고 투자지역별 적절히 분산된 실적배당형 상품의 월적립식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방식"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