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전격적인 중국 방문에 국제 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김 위원장의 건강 악화설 이후 공식 활동을 자제한 이후 사실상 첫 정상외교의 행보이자, 김정은 권력 이양, 6자회담 복귀, 천안함 사태 등 복잡한 분위기속에서 이뤄진 북한의 상징적 외교 행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천안함 침몰 사고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의 최고 권력자가 우방국인 중국을 전격 방문하는 것이어서 국제사회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지난달 30일 이명박 대통령과 만나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천안함 사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을 분명히 전달받은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김정일 위원장과 만나 어떤 얘기를 나눌 것인지도 관심사다.
이 대통령의 '메시지'가 김 위원장에게 간접적으로 전달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애초 김 위원장은 4월초 방중설이 있었다. 4월중순 워싱턴에서 열린 오바마 미 대통령 주도의 핵 안보 정상회의에 앞서 중국을 통해 '북핵문제'에 대한 북한의 의중이 전달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왔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방중은 연기됐으며, 최근 민감한 시기인 2일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천안함 사건의 배후로 북한이 지목되고 이후 UN안보리에 이 문제가 상정될 가능성에 대비해 앞서서 중국 방문을 선택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때 위독설이 돌아 예상치 않는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후계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으나, 이번 방중은 김 위원장의 건재함을 대내외에 과시하고자하는 목적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 개막한 상하이 엑스포에 '북한관'을 개설한 것에 비춰볼 때 김 위원장이 이곳에 들러 개방을 강조하는 국제사회를 향한 메시지를 전달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아울러 꽉 막힌 북핵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한 6자회담 복귀를 바라는 국제사회의 요구에 김 위원장이 중국을 통해 어떤 메시지를 던질 것인지 주목받고 있다.
북핵문제의 해결 틀은 '6자회담' 프로세스이지만 핵 안보 정상회의에 참석한 각국 정상들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진전된 언급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즉 김 위원장의 방중은 시기적으로 볼 때 매우 '정치적'이고 '민감한' 시기로 해석된다.
김 위원장이 이같은 국제사회의 움직임을 포착하고 중국 지도부를 만난 자리에서 어떤 얘기를 꺼낼지 주목되는 이유다.
6자회담 재개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핵 문제에 있어 진전된 입장을 내놓는 수준에서 논의가 마무리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어쨌든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 '메시지'가 무엇이 될 지 국제사회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아울러 이번 방중 기간 동안 국제 제재에 동참한 중국이 대북 지원에 대한 '선물'을 전달할 지도 관심사다. 대규모 대북경제지원을 약속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외신들은 김 위원장이 이번 방중기간 동안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 식량을 비롯한 경제지원과 중국의 대북 투자를 요청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북한의 6자회담 복귀 확답을 얻어내는 대신, 북한은 대규모 경제지원을 얻어내는 '빅 딜'이 이뤄질 수 있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지난해 말 단행한 화폐개혁이 사실상 북한의 실물 경제를 흔들어 놓으면서 쌀값을 비롯한 생필품과 식료품 가격이 혼란을 겪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전통적 우방인 중국의 도움은 북한 김정일 위원장의 이번 방중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될 수밖에 없다.
김 위원장이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의 체면을 살려주는 차원에서 복귀를 선언하면 작게는 식량지원부터 많게는 지난해 중국이 약속한 2000만 달러 상당의 경제지원을 재확인하고 대북 투자를 약속하는 선까지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10월 원자바오 중국 총리 방북시 북한은 총 사업비 12억6000만 위안에 달하는 압록강 대교 무상건설, 2000만 달러 규모의 경제지원 약속을 받아낸 바 있다.
북한은 2012년 강성대국 건설을 목표로 최근 대풍투자그룹과 국가개발은행을 설립하고 해외자본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