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김정일 방중⑤]6자회담 복귀 선언하나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중국 방문에서 6자회담 복귀 선언 등 6자회담 재개와 관련한 전향적인 입장을 밝힐지 주목된다.

천안함 침몰 사건 이후 우리측의 요청에 따라 천안함 사건과 6자회담을 연계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지만 김 위원장의 6자회담 복귀 선언은 분위기를 얼마든지 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는 천안함 사건 북한 연루설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하기 때문에 6자회담 재개는 어렵다고 입장을 정하고 국제사회에 양해를 구해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직접 6자회담 복귀를 선언할 경우 6자회담을 천안함 사건과 연계해 계속 미루기는 어려운 분위기가 조성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천안함 사고 원인이 정확히 규명될 때까지 6자회담을 미룰 수는 있지만 이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6자회담 복귀를 선언하기 전의 문제"라며 "6자회담 복귀 선언이 있다면 상황이 바뀔 수도 있다"고 말했다.

북한 역시 이같은 점을 염두에 두고 6자회담 전격 복귀 선언 등을 통해 천안함 사건에 기울어진 국제사회의 관심을 분산시키려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물론 김 위원장이 6자회담 복귀를 선언한다고 해서 천안함 문제를 뒤로하고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가 속도를 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달 30일 이명박 대통령이 중국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이미 천안함에 대한 중국 정부의 협조를 요청한데다, 중국도 동맹국인 북한의 입장을 마냥 옹호하며 천안함 문제를 외면할 경우 국제사회의 비난을 자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중국측이 천안함 문제와 6자회담 재개를 병행해 다루자는 중재안을 내놓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북한이 6자회담에 전향적인 태도를 보일 경우 천안함 문제와는 별도로 6자회담을 재개하기로 하고 미국과의 협의를 거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소행으로 결론 나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추가 제재가 이뤄질 경우 6자회담 역시 제대로 진행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다.

다만 천안함 사건 원인 규명까지 2개월 이상 소요될 경우 더 이상 비핵화 프로세스를 늦출 수 없다는 국제사회의 여론이 일어나 국면이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