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용산역세권개발사업 ‘백지화 위기’…금융권도 손해 ‘막심’

국내 최대 개발 사업으로 손꼽히고 있는 용산 역세권 개발 사업이 공모형PF 사업 침체 여파로 전면 백지화 위기에 놓여있다.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회사(이하 드림허브)측은 오늘 오후 4시 긴급 이사회를 열어 토지대금 자금 조달 등을 협상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오늘 이사회에서는 용산역세권 개발과 관련, 이견(異見)을 보이고 있는 자금조달 방법에 대해 협상할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오늘 협상이 무산될 경우 코레일이 개발컨소시엄 시공 대표사인 삼성물산 건설부문(삼성건설)측에 자금마련 방안을 마련하라고 결정한 데드라인이 오는 16일이기 때문에 사업자체가 전면 백지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코레일의 최후통첩대로라면 드림허브는 지난해 말 발행한 8천500억원 규모의 ABS(자산유동화증권)에 대한 이자를 9월17일까지 납입해야 한다. 용산역세권개발 컨소시엄이 이자를 납입하지 못할 경우 개발 사업은 전면 중단될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게다가 자금조달을 위해서는 이사회의 결의가 조달시점을 기준으로 최소 2개월 전에 필요하기 때문에 늦어도 오는 16일까지는 자금을 조달할 계획을 이사회를 통해 결의해야만 한다.

때문에 오늘 있을 이사회가 실질적으로 마지막 이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돼 이번 협상을 기점으로 용산역세권개발 사업의 진행 여부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양측 입장은

한편 컨소시엄의 대표 시공사인 삼성물산은 이번 사태가 코레일VS삼성물산으로 비춰지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이와 관련 삼성물산 손수근 과장은 “용산역세권 개발은 20여개의 건설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진행되는 대규모 사업인데, 굳이 삼성물산을 지목한 이유는 이해할 수 없다”라며 “땅 주인인 코레일이 땅값을 받겠다는 것은 당연한 요구지만 드림허브측은 PF조달이 어려우니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서로를 위해 좋지 않겠느냐는 입장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17개 건설투자자들에게만 리스크를 부담하라는 것은 무리가 있다”라며 “삼성물산의 경우 이미 투입된 비용이 600억원이 넘는 만큼 협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혀 극적타결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코레일 측도 오늘 열릴 이사회를 놓고 압박 수위를 한 폭 꺾은 양상이다. 코레일 개발 계획팀의 원형민 부장은 “지불 계획을 명확히 내놓고 사업을 계속 진행할지 말지에 대한 입장을 컨소시엄이 명확히 밝히라는 것이 우리의 입장이다”라며 “이미 중도금 납부 연기와 이자탕감에 대한 요구는 거절한 상황이지만 최악의 사태가 발생하는 것은 코레일 또한 원하지 않는다”고 소견을 밝혔다.

공모형PF사업의 잇따른 위기 속에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이 좌초되면 코레일 또한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오늘 극적타결이 있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조심스레 점쳐지고 있다.


하지만 양측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만큼 사업이 속행될지 전면 백지화될지 섣불리 예견할 수 없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 무산되면 금융권 ‘직격탄’

전문가들은 초대형 개발사업인 용산 역세권사업이 무산되면 금융권 또한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데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용산역세권개발 사업에 정통한 금융관계자는 “드림허브에 참여한 주요 금융권은 미래에셋맵스펀드(4.90%), 삼성생명(3.00%), 우리은행(2.00%), 삼성화재(0.95%), KB웰리안펀드(지분율 10%), 푸르덴셜(7.70%) 등으로 이들의 지분율을 합치면 28.5%에 달한다”라며 “용산 역세권 사업이 전면 백지화되게 되면 이들이 내놓은 투자금 2천8백억 원이 고스란히 공중으로 증발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드림허브가 자본금 1조원과 2009년 말 8천500억원 규모의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해 사업부지 일부를 매입했지만 사업이 무산될 경우 땅 주인인 코레일에 낸 계약금과 토지 일체를 몰수당할 수 있게 된다.

이어 그는 “드림허브 사업이 더 진행되지 못한다면 지분 참여를 한 금융권은 지분율만큼의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용산역세권 개발사업 관계자들은 상황이 워낙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상황이라 오늘 있을 이사회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형국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 입장에서도 어마어마한 규모의 개발사업이 좌초되면 부동산 시장이 직격탄을 맞을 수도 있다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다”라며 “또 사업이 장기 표류할 경우 용산지역의 투자가치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이사회 결과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