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데드라인 넘긴 '용산국제업무지구' 파국으로 치닫나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이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코레일이 민간사업자 드림허브에 16일까지 부지대금납부 대책을 내놓으라는 최후통첩을 보냈지만 드림허브가 이날까지 어떤 대응도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용산역세권 개발을 둘러싼 양측의 입장이 극명하게 갈리며 총 사업비 약 30조 규모의 용산지구 사업이 전면 백지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가고 있다.

최종 디폴트(default:채무불이행) 예상시점까지는 약 2달간의 시간이 남았지만 사업여건을 감안했을 때 뾰족한 해법이 나올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코레일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이미 파격적인 계약 변경을 통해 투자자들을 배려했다”며 “땅값을 깎아달라는 등 원래 계약 변경은 더 이상 수용할 수 없다”고 강경한 입장임을 강조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코레일 역시 계약해지 등 사업이 극단적인 방향으로 흐를 경우 후폭풍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섣불리 조치를 취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컨소시엄 측도 사업성 하락을 이유로 이전에 요구한 중도금 납부 무이자 연기, 용적률 상향등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상태로 양측의 견해가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향방을 예측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한편 일각에서는 용산역세권 개발이 30조원이 넘는 초대형 프로젝트임을 감안했을 때 제3자에 의한 중재가 있을 것으로 관측하고 이번 사태가 조기에 마무리될 수도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개발사업을 둘러싼 사업자간 갈등에 서울시와 국토부 등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태라 정부 차원의 중재안이 나올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일단 드림허브는 이번 주 이사회를 소집해 대책을 마련할 계획으로 알려졌지만 출자사들의 합의를 이끌어내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서울시 관계자는 “이미 기투입된 비용이 수 천 억원이 넘는 만큼 총 30조 규모의 사업이 무산된다면 국가적으로도 큰 타격”이라며 “관계부처 차원에서도 양자의 합의를 이끌어낼 중재안 마련에 나선 것으로 안다”고 전해 최후의 경우 정부차원의 개입이 있을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일단은 9월까지 드림허브가 내야하는 이자는 약 128억여원으로 시행사에게 큰 부담이 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돼 계약파기까지는 상당량의 유예기간이 남았다는데 전문가들의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그 기간 동안 정부차원의 개입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인 셈이다.

또 2007년 서울시가 서부이촌동 사업을 용산역세권개발과 통합 개발하기로 한 이후 이 지역 주민들이 3년째 재산권 행사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만약 이 사업이 원점으로 돌아간다면 주민들과 생길 마찰도 우려되고 있어 3자 개입설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한 부동산 전문가는 “여러 가지 상황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만큼 사업이 장기 표류되는 것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취해질 가능성이 높다”라며 “이르면 이번 달 안에 향방을 예측할 수 있는 합의가 이뤄질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