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기업구조조정과 부동산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은행권의 부실 채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월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1.94%로 3월말 1.48%와 비교해 0.46%포인트 상승했다. 부실채권 규모 역시 6조6000억원 늘어난 25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부실 채권이 증가한 것은 지난 6월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등을 통한 기업구조조정이 본격 추진되고, 부동산 경기부진 등의 영향으로 건설 및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의 부실비율이 커졌기 때문이다.
실제 대기업 신용위험 평가에 따른 기업구조조정 대상기업의 부실채권을 제외할 경우 부실채권비율은 1.58%로 전분기 대비 0.10%포인트 증가하는데 그친다.
부문별로는 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2.65%)이 기업구조조정 관련 신규부실 발생 등의 영향으로 전분기말(1.96%) 대비 0.69%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중소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3.04%)은 부동산PF 대출을 중심으로 0.85%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가계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50%로 3월 말 0.51%와 비슷했다. 주택담보대출 부실채권비율 역시 0.37%로 3월 말 0.38%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한편 올해 4~6월 신규부실채권 발생규모는 12조8000억원으로 지난 분기 6조2000억원보다 급증했다. 이 가운데 기업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기업여신 신규부실이 11조8000억원을 차지했다. 가계여신 및 신용카드 신규부실은 각각 8000억원, 3000억원이었다.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정리실적은 6조1000억원으로 지난 분기 3조2000억원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정리방법별로는 대손상각(2조1000억원), 매각(1조6000억원), 여신정상화(1조2000억원), 담보처분에 의한 회수(1조1000억원) 순이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제 금융불안 요인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데다 하반기 중소기업 등에 대한 기업구조조정 추진 등으로 부실 확대요인이 잠재하고 있다"며 "향후 은행이 잠재부실을 조기에 인식하고 충분한 대손충당금을 적립할 수 있도록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