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DTI 완화 대출 효과 '아직은 미미'

은행권이 지난 2일부터 시작한 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 대출이 고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다.

5일 은행권 관계자에 따르면 아직까지 한 건의 실적도 올리지 못한 은행 지점이 부지기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관계자는 "아직까지 적극적으로 대출상담을 받는 사람은 거의 없다"며 "이는 이미 떨어질 대로 떨어진 부동산 값을 좀더 지켜보자는 관망세가 우세한 분위기다"고 말했다.

은행들은 정부의 주택거래 활성화를 위한 '8.29 부동산 정책'에 따라 서울의 강남3구(서초·송파·강남)을 제외한 수도권에 적용되는 DTI 비율 규제(40~60%)를 무주택자와 1주택자에 한해 내년 3월까지 한시적으로 폐지했다.

하지만 은행업계는 부동산 매매 심리가 되살아나지 않는 한 앞으로도 은행의 대출상담 고객은 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정부가 DTI 규제 한시 폐지가 부동산 거래량 확대까지 이어지기까지는 적잖은 진통이 따를 전망이다. 시중의 한 부동산 중개업자에 따르면 "미분양과 입주물량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는 고양, 용인 지역에서도 기대감은 커진 상황이지만, 추가 수요 유입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이용고객들은 이번 주 결정되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경기 회복세에 따른 금리 인상론에 무게가 실리고 있지만, 한은의 입장에서도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을 쉽게 간과하기도 어려운 일이다.

앞서 한은은 2분기 경제 성장률이 작년 동기 대비 7.2%라고 발표하면서 "경기가 확장 국면에 진입했다"고 진단했다. 김중수 총재도 "지난 7월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현재의 통화정책 기조는 완화적"이라고 거듭 밝힘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금리 인상론자들은 한은이 더이상 인플레이션 압력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근 모건스탠리는 보고서를 통해 "한은의 현재 금리 수준은 분명히 낮다"며 "금리가 적시에 정상화되지 않으면 또다른 경기 둔화가 나타났을 때 대응하기 어려워진다"고 설명했다.

만약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시 이자상환에 대한 부담감이 커져 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실적은 더욱 저조해진다.

한편 국민,신한,우리,하나,기업,외환은행 등 6개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지난달 말 현재 203조9670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7840억원 줄었다. 월중 감소폭이 지난해 9월 1조2013억원 줄어든 이후 11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용어설명: DTI(Debt To Income·총부채상환비율) : 총소득에서 대출금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및 다른 부채의 이자 상환액을 합친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말한다. 만약 DTI 한도가 50%라면 연소득이 5000만원인 사람의 경우 한 해에 갚아나가는 대출금의 원리금을 합쳐 연 2500만원 넘게 대출받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