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공정사회위해 기업 편법 상여부터 없애야

"공정사회 실현을 위해서는 국내 기업들의 편법적인 상여부터 뿌리 뽑아야 한다"

오성규 시민사회연대회의 운영위원장은 이날 토론회에서 "해마다 기업의 지배구조가 문제가 되는데, 글로벌 기준에 맞춰 우리 기업의 수준부터 높이는 것이 공정사회에 임하는 기업들의 실천적 모습이 아닐까 생각한다"며 이와 같이 밝혔다.

오 위원장은 "이명박 정부 초기에 녹색성장을 강조했는데, 이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 공정사회다"며 "공정하다는 것은 형평성 있는 관계 유지다. 기업 공동체 혹은 사회 내에서 건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합당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오성규 위원장은 승부조작으로 인해 무관중 경기를 진행했던 이탈리아 축구경기를 예를 들며 공정사회 실현을 위한 기업, 정부, 시민단체의 책임을 설명했다.

"정부는 심판, 기업은 선수, 시민과 시민사회는 관중의 역할을 합니다. 정부는 축구 룰처럼 제도를 통해 경기가 흘러가도록 적절한 통제를 합니다. 선수는 관중이 없으면 경기가 재미가 없어지기에 관중이 중요합니다. 시민과 시민단체는 공정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모범적 사례를 잘 발굴해야 합니다"

이어 그는 지금까지의 한국 사회가 헝그리 사회·난민사회였다며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기기만 하면 됐기에 그 과정에서 공정하기는 힘들었지만, 이제 공정한 사회를 위해 윤리적 실천은 필수다"고 밝혔다.

오 위원장은 "다수의 관중이 객관적 시각으로 공정한 사회를 위한 가치를 실현해 나가는 기업(선수)을 발굴해 적극적으로 칭찬해줘야 한다. 참관의 역할을 잘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