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하이닉스 인수전, 이제 "STX" VS "SK" ?

현대중공업이 6일 인수전에 결국 불참할 뜻을 밝히면서 무산될 위기에 처했던 하이닉스반도체 주인찾기 작업이 새 국면을 맞았다. 인수의향서(LOI) 마감일을 이틀 앞두고 가장 유력한 후보였던 현대중공업이 결국 인수전에서 빠지게 되었다. 또 다른 후보군으로 꼽혔던 LG와 효성,동부그룹은 "인수를 검토한 적 없다"고 적극 부인했다.

 

이에 SK와 STX그룹이 인수전에 뛰어들 의사를 밝혔다. 두 회사는 이날 인수참여 여부를 묻는 조회공시 요구에 "확정된 바 없다"고 답변,인수의사가 있음을 우회적으로 내비쳤다.

◆SK · STX 가 참여?

한국거래소가 요구한 조회 공시에 SK와 STX는 "확정된 게 없다"고 답변했다. 양사 인수전에 뛰어들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겨놓은 셈이다.

< STX > 자금문제는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시장을 설득해 나가겠다.

두 기업 가운데에서도 STX는 비교적 인수 참여 의지를 적극적으로 내비쳤다. 이종철 그룹 부회장은 공시 직후 기자간담회를 자청, "그룹 차원의 시너지효과보다는 사업 다각화 차원에서 하이닉스 인수를 염두에 두고 있다"며 "LOI 제출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본입찰에 참여할 경우 자금조달 계획도 내놨다. 그는 "절반 이상의 자금을 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성 자산과 함께 우량자산 매각 등을 통해 충당하고,나머지는 중동 국부펀드로부터 조달, 100% 무차입으로 하이닉스 인수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경영권은 당연히 STX가 보유하는 구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설투자 부담에 대해선 "하이닉스를 인수하면 향후 10년간 60조원 이상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 걸로 안다"며 "이는 삼성전자를 따라잡기 위한 투자 규모로,하이닉스가 자체적으로 투자 자금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시장 우려에 대해선 "STX의 하이닉스 인수전 참여에 대해 시장의 반응이 호의적이지 않다는 점을 알고 있기 때문에,먼저 시장을 설득할 계획"이라며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조건과 가격을 제시할 예정으로 우리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면 포기하겠다"고 덧붙였다.

STX 역시 현대중공업과 함께 과연 하이닉스를 통하여 어떠한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 낼 것인가? 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나, STX의 경우 M&A를 통한 성공적인 그룹성장 이력을 고려할 때 충분하다는 입장이 지지를 얻고 있다.

 < SK >한번 해 볼 만하다. 연계 효과는 아무래도 우리 쪽이.

STX와는 달리 SK는 인수전 참여와 관련해 말을 아끼는 분위기다. 현재 임원진의 검찰수사와 관련하여 비교적 조신한 행보를 걸어오던 SK에서 하이닉스라는 새로운 이슈가 적절한 가에 대항 지적도 있었다.

실제로 시장의 평가는 검찰 수사와 공정거래법 위반 등 안팎으로 여러 현안이 있는 상황에서 SK가 하이닉스 인수전에 신경 쓸 겨를이 있겠냐는 게 중론이었다. 때문에 SK가 LOI를 내더라도 본입찰에 참여할지 여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반대 시각도 있다. 현대중공업과 LG,동부 등이 불참하기로 하면서 SK가 '이 정도면 해볼 만하다'고 판단,막판에 극적으로 승부수를 던졌다는 분석이다. SK가 에너지,통신에 이은 새 성장동력으로 반도체에 도전하려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연계효과에 있어 STX에 비해서 SK가 더 적절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SK의 과감한 보폭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