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온실가스 감축기반 조성, 폐자원 에너지화
환경부는 2008년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선포한 이후 3년간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또 온실가스 감축 기반이 구축되고 폐자원의 에너지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등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2012년까지 음식물 쓰레기 20% 감소" = 2000년대 들어 매년 증가하던 전국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지난 2009년을 기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2001년에 하루 1만1천237t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는 매년 3% 증가해 2008년에는 하루 1만5천142t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녹색성장 정책이 추진된 2009년에는 1만4천118t, 2010년에는 1만3천516t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도입, 학교ㆍ음식점 등 발생원별 맞춤형 대책 추진, 음식문화 개선·실천운동 덕분이라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환경부는 2012년까지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제도를 정책시켜 발생량을 20% 이상 줄인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전기와 수도, 가스절약 등 녹색생활을 실천하는 가정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탄소 포인트' 제도가 도입돼 지난 7월 말 기준으로 200만 가구가 참여 중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 수의 11.4%가 탄소포인트제에 참여하고 있다"며 "참여 가구는 연내 250만 가구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도입 = 정부는 2008년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비전을 선포한 뒤 2009년에는 '2020년 배출전망치 대비 온실가스 30% 감축'이라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 2010년 국가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를 설립했고, 대기업과 발전소 등 대형배출원에 대해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도를 도입했다.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기준, 그린빌딩 인증ㆍ보급제도도 온실가스 감축 수단의 일환으로 도입됐다.
폐기물을 활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폐자원 에너지화도 본격적인 궤도에 올라섰다.
지난해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해 원유 58만5천873배럴(523억원)에 상당하는 열량의 바이오가스를 생산, 자동차 연료 및 지역난방 에너지원으로 활용했다.
전국 20개 생활페기물 매립장에 매립가스 자원화 시설을 설치, 14만1천7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해 447억원의 수입이 발생했다.
특히 매립가스 일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으로부터 온실가스 감축분을 인정받아 총 93만6천CO2t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