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李대통령 "기업 사회적 책임은 시대 요구"

[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19일 "요즘 사회적으로 새롭게 대두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화되고 있고, 무엇보다도 이것은 이 정부가, 이 정권이 요구한다기 보다는 시대적 요구"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일자리 창출을 위한 규제 및 제도 개선 방안'을 주제로 제26차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회의를 주재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 변화로 인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원칙의 바탕 위에 기업이 성장하고 이윤을 창출하는 그 원칙이 흔들리는 게 아니다"라면서 "기업이 여러 측면에서 시대에 따라 해야 할 역할이 더 늘어났다. 이것은 한국뿐 아니라 오늘날 세계가 여러 위기를 거치면서 발생한 시대적 요구라는 관점에서 재계가 좀 이해를 해 주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제도적으로나, 외부의 요구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재계 스스로가 그러한 역할에 대해 시대적 흐름을 참고해서 하면 더 많은 성과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세계 경제가 재정위기로 인해 불확실하고 예측이 어려운 때, 재계도 힘을 모아서 해외진출을 더 강화해야 하고, 일자리 창출ㆍ국내 투자에 대한 측면에서 손경식 위원장이 이 일을 맡아 하는 게 아주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날 위촉된 손경식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내수확충과 일자리 창출에 효과가 큰 서비스 산업 활성화, 공생발전을 위해 중소기업이 강소기업으로 커 나갈 수 있는 경쟁력 강화 방안도 마련, 국내외 투자자를 위한 규제도 찾아내 개선해나가겠다"고 했다.

또 "사회적 책임과 관련해서는 여러 분야에서 공정한 사회를 만드는 데 있어 기업이 조금 더 앞장서 나갈 각오가 있다"고 약속했다.

이날 회의에서 국경위와 관계 부처는 ▲3단계 진입규제개선(공정위) ▲공공하수도 운영ㆍ관리 업무 민간개방 확대(환경부) ▲규제개혁 추진계획(지경부) ▲음식점 옥외영업 범위 확대 등 규제개선(복지부) ▲일자리창출(방통위) ▲일자리창출 규제개선(국토부) ▲외국인전용 시내면세점 도입(관세청) 등 25개 규제 개선 방안을 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이와 관련해 권태신 부위원장은 브리핑에서 "모든 것이 잘 돼서 1인 창조 기업 등이 활성화되면 8만2천명까지 인원이 늘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