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우성 기자] 우리나라 스마트폰 가입자가 2천만명을 돌파, 국민 10명 중 4명, 경제활동인구 2천500만명의 80%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의 가입자 증가 속도를 보이며 본격적인 스마트폰 대중화 시대로 접어들었다. 우리나라가 '스마트 생활 혁명' 궤도에 본격적으로 오르게 됨에 따라 국민의 생활 전반에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30일 우리나라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지난 28일을 기해 총 2천만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사업자별로는 SK텔레콤이 1천만명, KT가 680만명, LG유플러스(U+)가 330만명 수준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스마트폰 가입자 증가 속도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2009년 11월 아이폰이 국내 처음 도입된 이후로 스마트폰 가입자가 급증하고 있다. 아이폰 국내 출시 이후 2009년 12월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 중 스마트폰 가입자의 비율은 1.7%였지만, 삼성전자와 LG전자 등의 스마트폰 제조회사와 SK텔레콤, KT 등 이동통신사들이 본격적인 스마트폰 보급에 나선 1년 뒤인 2010년 12월에는 14.2%로 8.4배 증가했고, 올해 말에는 절반에 가까운 42%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의 증가 속도가 계속해서 유지된다면 우리나라보다 스마트폰 보급이 먼저 시작됐던 미국과 서유럽의 스마트폰 사용자 비중을 우리나라가 곧 따라잡을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기관 닐슨에 따르면, 미국의 스마트폰 가입자 비중은 2009년 12월 21%에서 2010년 12월 31%, 올해 7월 40%를 달성하고, 올해 말에는 50%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증가 속도는 우리나라에 미치지 못한다. 그리고 다른 시장조사기관인 인포마는 서유럽의 스마트폰 가입자 비중이 2009년 12월 25%, 2010년 12월 32.6%인 것으로 집계했으며, 올해 말에는 42.9%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SK텔레콤은 지난 28일 스마트폰 가입자가 1천만명을 넘어 올해 목표치를 두 달 앞당겨 달성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스마트폰 대중화가 예상보다 앞당겨진 것에 대해 "스마트폰 단말기가 다양해지고,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육성을 지원하는 등 모바일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동반성장 정책을 펼쳤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초기에는 IT에 관심이 많은 20∼30대 남성들이 스마트폰 가입자의 대부분이었지만, 지금은 남성이 52%, 여성이 48%를 차지하고 연령별 비율도 10대 19%, 20대 20%, 30대 25%. 40대 21%, 50대 15%로 고르게 분포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