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연초부터 G20회의 잇따라 열려… 유로존 위기 해결 논의

[재경일보 이규현 기자] 새해 벽두부터 유로존 재정 위기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 주요 20개국(G20) 회의가 줄줄이 열린다.

이 회의를 통해 유로존 지원을 위한 국제통화기금(IMF) 재원 확충 방안을 놓고 합의가 이뤄질 수 있을 지 주목된다.

2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올해 G20 의장국인 멕시코는 오는 19~20일 멕시코시티에서 G20 재무차관회의를 소집한다.

이어서 다음달 24~26일에는 같은 장소에서 재무차관회의(24~25일)와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25~26일)를 연달아 개최된다.

연초부터 이렇게 일정을 촘촘하게 잡은 것은 11월을 전후해 열렸던 G20 정상회의가 올해는 예년보다 반년 정도 앞당겨진 6월 18~19일 멕시코 로스 카보스에서 개최되기 때문이다.

G20은 우선 이달 차관회의에서 올해 의제를 정하고, 다음 달 장관회의까지 유로존 대출 재원을 늘리기 위한 IMF 재원 확충 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이는 G20 정상들이 지난해 11월 회의에서 '오는 2월 재무장관회의까지 IMF 대출 재원 확대 방안 마련'을 주문한 데 따른 것으로, 유럽연합(EU)은 이미 지난달 9일 정상회의에서 IMF에 2천억 유로를 넣기로 결의했다.

하지만 EU도 아직 구체적인 분담 방안에 대해서는 합의하지 못했고, 신흥국을 포함한 비(非)유럽 국가도 출연에 소극적이다.

특히 EU는 지난달 19일 재무장관회의에서 분담 방안에 대해 논의했지만 영국이 'G20 틀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사실상 동참을 거부해 합의에 실패했었다.

우리 정부도 유로존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IMF 재원 확충 방안에 대해 '조건부 동의'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IMF 재원 확충 방안을 논의할 G20 워킹그룹을 가동했음에도 진전이 없는 상태"라며 "현재로선 다음달 장관회의까지 세부 확충 방안을 합의할지 미지수"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유로존 재정위기의 해결이 한국 경제에도 도움이 되는 만큼 재원 확충에 참여할 필요성에 공감하지만 ▲EU의 자구노력 선행 ▲IMF 일반계정으로 출연금 편입 ▲출연금의 외화보유액 인정 등이 전제조건으로 충족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한편, 정부는 올해 G20 회의에서 글로벌 통화스와프 논의를 진전시키는 노력을 전개할 방침이다. 지난해 칸 정상선언에서 유동성 위기 때 중앙은행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한 것을 발판으로 중앙은행 간 통화스와프를 구체화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