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방사선 피폭 여부 휴대폰·노트북·USB 등 휴대전자기기로 측정한다

[재경일보 서성훈 기자] 방사능 테러나 원전 사고 등으로 갑작스럽게 방사선에 노출됐을 때 별도의 측정장치를 착용하거나 혈액검사를 하지 않고도 휴대폰이나 노트북 등 자신이 가지고 있는 휴대전자기기로 간단하게 방사선 피폭 여부와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방호안전부 김장렬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선량계 없이 갑작스럽게 방사선에 노출됐을 경우 휴대전화나 노트북, USB 등 개인 휴대 전자기기 내 부품 검사로 방사선 피폭 여부와 누적 선량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소형 전자기기뿐 아니라 PC, 태블릿, 자동차 등 세라믹 물질이 사용된 대부분의 생활 주변 기기 부품 소자에 적용 가능하다.

연구팀은 '방사선 방호용 선량 측정 및 평가기술 개발' 연구를 통해 전자기기 부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저항소자, 발진소자, IC칩에 포함된 세라믹 물질이 방사선에 노출되면 내부의 전자에너지 상태가 변해 광자극발광(OSL) 특성을 띠는 것에 착안해 전자기기 부품 검사로 피폭 여부와 누적선량을 측정해냈다.

특정 파장의 가시광선을 방사선에 노출된 세라믹에 쪼이면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방출하는 데 피폭 방사선량에 비례해서 방출되는 이 빛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피폭 여부와 누적선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기술은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수 시간 이내로 기존에 방사선 피폭 여부를 판단하는 데 활용되어 온 기존의 '혈액 내 염색체 변이 해석법'보다 빠르고 방사선에 대한 감도도 높아 정확하게 10mSv의 낮은 방사선량까지 측정할 수 있어 선량계를 착용하지 않은 원전 주변 주민의 피폭 방사선량 평가에 유용하게 쓰일 전망이다.

밀리시버트(mSv)는 방사선이 사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측정단위로 일반인이 1년 동안 쬐는 자연방사선은 약 2∼3 mSv, 방사선 업무 종사자의 1년간 피폭 한계치는 50 mSv이다.

하지만 피폭 검사를 위해 세라믹 물질을 분리해 내야 하기 때문에 기기 별로 재사용이 불가능하거나 수리가 필요한 것은 단점이다.

김 책임연구원은 "일상에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물질에서 방사선 준위를 평가해 신속하게 의료적 처치를 할 수 있고 피해 규모에 대한 정확한 정보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