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전재민 기자] 장기 불황에다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가계부채 증가율이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월별 증가율도 최장기인 12개월째 둔화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이 지속될 경우 서민들의 대출 문턱이 높아져 사채시장으로 옮겨가는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
15일 한국은행의 `월별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현황에 따르면, 공식통계가 집계된 2012년 8월 가계대출(가계부채) 잔액은 649조8189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4.1% 늘어났다. 이는 역대 최저 증가율이다.
한국은행이 가계대출 공식통계를 작성한 지난 2003년 10월 이후 전년 동월 대비 월별 가계대출 증가율은 통상 6∼8%대에서 움직였다. 특히 2011년 8월 기준 가계대출 증가율은 8.8%까지 치솟았다. 이로 인해 `부채폭탄'이 우려되자 정부 당국이 가계대출을 규제하기 시작한 데다 유럽 재정위기 등 대내외 여건 악화로 인해 경기침체까지 겹치면서 증가율이 크게 둔화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가계대출 월별 증가율은 2011년 12월 7.8%로 떨어진 이후 2012년에는 2월 6.8%, 4월 5.9%, 6월 5.1%, 7월 4.6%로 급격히 낮아져 8월에는 4.1%로 겨우 4%대에 턱걸이했다.
월별 가계대출 증가율은 2011년 8월을 정점으로 역대 최장기인 12개월째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또 이같은 추세라면 9월 이후 증가율은 3%대로 내려앉을 가능성이 많다는 게 한은 측의 전망이다.
가계부채 증가율이 낮아진 가장 큰 요인은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수요의 급감이다.
LG경제연구원 이근태 연구위원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주택을 사려는 수요가 줄어든 것이 가장 주된 요인"이라며 "금융기관 입장에선 경기침체로 상환위험이 커지자 대출을 억제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하지만 급격한 가계대출 증가율 둔화는 경제 전반에 부작용과 후유증을 낳을 수도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박덕배 연구위원은 "정부의 가계부채 억제 대책 이후 대출이 어려워졌고, 가계의 경제 사정까지 나빠져 아예 돈을 안 빌리는 것 같다"면서 "가계부채 총량 증가세가 줄어드는 것은 맞는 방향이나 서민들이 돈을 빌릴 통로가 사라져 사채시장으로 옮겨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근태 위원도 "경기가 좋지 않은데 무작정 대출을 늘려 서민경기를 해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도 "그러나 높은 대출금리를 저금리로 바꿔주는 등 방식으로 빚 부담을 줄여주면서 필요한 돈을 제때 빌릴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제언했다.
![대출](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3872/image.jpg?w=60&h=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