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떨어진 경제성장률로 인해 우리나라의 지난해 3분기 노동생산성 하락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6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우리나라의 노동생산성은 전분기 대비 0.4% 떨어지면서 OECD 22개 회원국 가운데 노르웨이(-1.3%)에 이어 하락률이 2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OECD 국가들의 3분기 평균 노동생산성은 0.2% 상승했고, OECD 중 유럽 지역 국가들은 평균 상승률이 0.1%를 기록했다.
노동생산성은 투입된 노동량과 생산량의 비율로, 노동자 1인이 일정기간 산출하는 생산량 또는 부가가치를 나타낸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3분기 취업자 수가 전분기 대비 0.5% 증가해 노동투입량이 늘어났지만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지난 2009년 1분기와 같은 0.1% 증가에 그치면서 생산성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연도별 노동생산성 상승률은 2009년 1.6%, 2010년 0.8%, 2011년 0.3%에 이어 2012년에는 3분기까지 -0.1%을 기록, 3년째 뚜렷한 하락세를 보였다.
우리지주금융 송태정 수석연구위원은 "노동생산성 하락은 작년 하반기 GDP 성장률이 급격히 낮아졌기 때문"이라며 "성장률은 둔화하는데 이에 따른 취업자 수 조정은 시차를 두고 나타나기 때문에 노동생산성이 하락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또 지난해 2분기 단위당 임금이 전분기 대비 3.1% 하락해 OECD에서 두번째로 큰 하락률을 기록했으나, 3분기에는 1.7%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단위당 임금 상승과 노동생산성의 하락에 따라 3분기 단위노동비용은 2.1% 상승, 노르웨이(2.8%)에 이어 두번째로 높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