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전재민 기자] 올해부터 신규 가입자의 보험료가 5~10% 또 오른다.
저금리 기조가 고착화한 것이 표면적인 이유지만 보험사들이 저금리로 발생한 수익성 악화를 보험료 인상으로 손쉽게 해결하려는 관행이 한몫했다는 지적이다.
고객을 `봉'으로 삼는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보험료 인상은 '절판 마케팅'에 악용될 소지마저 있어 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
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사 회계연도가 시작하는 다음 달부터 '표준이율'이 0.25%포인트 내린 3.50%로 하향 조정된다. 표준이율이 0.25%포인트 떨어지면 5%의 보험료 인상 요인이 발생한다.
이는 지난해에 이은 두 번째 하향 조정으로, 특히 보험료 인상 폭이 2년째 물가상승률을 웃도는 것이다.
만기가 짧은 상품은 보험료가 덜 오를 개연성이 크지만, 장기상품(만기가 긴 상품)이 많은 종신보험, 질병보험 등을 중심으로 실손의료보험은 손해율 상승(보험금 지급 비율)이 겹쳐 보험료가 최대 10%까지 오르는 등 상당폭 인상이 점쳐진다.
삼성생명, 교보생명, 한화생명, 삼성화재, 현대해상, 동부화재 등 대형 보험사들은 표준이율 조정에 맞춰 보험료 인상을 준비 중이다.
표준이율 하락으로 보험료가 줄줄이 오르는 가장 큰 원인은 사상 유례없는 저금리 기조다.
표준이율이란 보험사가 보험금을 주려고 확보한 돈(책임준비금)에 붙는 이율을 말하는데, 보험사가 준비금을 운용해 얻을 것으로 예상하는 수익률의 기준치다.
그러나 또 다른 원인으로 보험사들의 고질적인 경영 행태도 지적을 받고 있다.
보험사들은 보험금 지급 재원을 확충할 때 증자(增資)보다 보험료 인상을 선호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금을 더 투입하는 대신 보험료를 올려 수익성 악화를 손쉽게 메우려는 자세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표준이율 계산식을 조만간 개편할 때 보험사의 사업비 지출이 보험료 수입 규모와 연동하지 않도록 해 보험료 인상 폭을 억제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이런 가운데 보험사들이 표준이율 조정과 보험료 인상을 구실로 삼아 곧 가격이 오른다고 선전하는 절판 마케팅이 다시 판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한 생보사 관계자는 "다음 달부터 보험료 인상 예정을 내세워 본격적인 절판 마케팅이 벌어질 것"이라며 "일부 보험사에서는 그런 움직임이 이미 시작했다"고 전했다.
![대출](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3872/image.jpg?w=60&h=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