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해운업체 '매출은 줄고 매출원가·판관비는 늘고'

[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국내 해운업체의 과반이 지난해 영업이익이 대폭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 또, 해운업체 상당수가 유동성 위기 상태에 놓인 것으로 나타나 대출원리금 상환, 정부의 선박매입 등 유동성 확보를 위한 정부의 긴급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1일 국내 해운업체 99개사의 지난해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감소한 기업이 55개사였고, 평균 감소폭은 146%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세계경기 불황으로 매출액은 감소한 반면,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는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영업이익이 줄어든 업체들의 지난해 평균매출액은 전년대비 5.6% 줄었으나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는 각각 0.1%, 6.8%씩 증가했다.

대한상의는 "해운물동량 급감, 운임 하락, 유가·원자재 등 운영원가의 상승 등으로 경영난에 빠진 해운업체들이 많다"며 "경기불황과 함께 원금상환시기 도래, 이자비용 등 부채에 대한 부담이 커져 자금유동성 확보에도 비상등이 켜진 실정이다"고 분석했다.

해운업체 99개사의 유동비율을 살펴보면, 전체기업의 75.8%가 100% 미만을 기록했고, 56.6%는 지난해 유동비율이 전년대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단기 채무상환능력을 보여주는 유동비율은 유동자산(1년 이내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유동부채(1년 이내 갚아야 하는 부채)로 나눈 비율로 보통 150~200%는 돼야 건전한 것으로 보며 100% 이하면 급격한 유동성 압박을 받을 수 있다.

이같은 해운업 경기불황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대한상의가 최근 국내 해운업체 175개사를 대상으로 긴급설문한 결과, 최근 경영상황에 대해 '좋지 않다'는 답변이 63.4%로 '보통이다'(31.4%)이라는 응답과 '좋다'(5.2%)라는 답변을 크게 앞섰다.

해운경기 회복시점을 묻는 질문에도 '내후년에나 좋아질 것'이라는 기업이 44.0%, '내년 하반기'를 꼽은 기업이 28.6%로 부정적인 의견이 대다수인 가운데, '올해 안에 회복될 것'이라는 응답은 3.5%에 그쳤다.

더 큰 문제는 해운업 경기가 올해 안에 회복되지 않을 경우 30%에 가까운 기업들이 경영 한계상황에 직면할 것이란 점이다. 최근 해운경영환경 악화에 대비할 여력이 있는지를 묻자 '이미 한계상황'이라는 답변이 9.7%였고, '올 상반기가 한계'라거나 '올 하반기가 한계'라는 답변이 각각 5.7%, 13.1%에 이르렀다.

최근 경영애로요인으로 응답기업들은 '경기둔화로 인한 물동량 감소 및 매출부진'(68.0%), '유가 등 운영원가 상승'(41.7%), '자금유동성 확보'(35.4%)를 차례로 꼽았다.

해운업 위기극복을 위해 가장 시급한 정부정책과제로는 '원리금 상환, LTV 적용기간 유예'(49.1%)를 첫 손에 꼽았고, 이어 '정부의 선박매입, 대출상환 보증 등 유동성 확보를 위한 지원'(35.4%), '선사 공기업, 조선소, 금융기관이 공동 참여하는 합작선사 설립'(11.4%), '전문인력 양성 지원'(1.7%), '선사간 M&A 지원 등을 통해 대형화 유도'(1.1%) 등을 제시했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해운업계는 지난 몇 년간 계속되어 온 글로벌 경기침체와 매출원가 상승 등으로 수익성 저하와 함께 유동성이 악화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며 "해운업체가 유동성을 보강하여 선박노후화에 대비하고, 서비스 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재원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가 원리금 상환과 LTV 적용기간 유예 등의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