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한 주간 코로나19 백신 접종자 수가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질병관리청의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 현황 일별 집계에 따르면, 전날 하루 동안 신규 접종자는 8만 9757명, 누적 접종자 수는 4379만 9357명이다. 2차 접종자 현황은 신규 3만 8216명, 누적으로는 4221만 9818명이다. 3차 추가접종(부스터 샷)은 신규 59만 569명, 누적으로는 1370만 9545명이다.
한국의 코로나 백신 접종률은 올해 1월 인구 5182만 1669명 기준으로 1차 84.52%, 2차(접종 완료) 81.47%이다. 3차접종(추가접종·부스터 샷)은 26.46% 수준이다.
또한 12월 셋째 주인 지난 12일부터 19일까지 한 주간 백신 접종건수는 608만9225건으로, 하루 평균 86만 9889명이 백신 접종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12월 둘째 주(5~12일) 일평균 백신 접종자 수 43만 1082명 대비로는 두 배 급증한 것이다.
이 기간 중 코로나 백신 부작용 신고현황을 보면, 우선 접종 부위 발적·통증·부기·근육통·발열·두통·오한 등 '일반 이상반응' 신고는 6612건이 있었으며, 이상반응 신고율은 0.11% 정도였다. 또한 아나필락시스(전신 중증 알레르기 반응) 의심사례는 74건으로 신고율은 0.0012% 수준이다.
특별관심 이상반응(Adverse Event Special Interest, AESI) 및 중환자실 입원, 생명 위중, 영구장애·후유증 등 '주요 이상반응'의 경우는 242건으로 신고율은 0.0040%였다.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사망사례는 75명, 사망률은 0.0012% 정도다. 이는 접종 완료자의 돌파 감염 사망률보다 12배 높은 것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의 '12월 2주 차 예방접종력에 따른 감염, 위중증, 사망 위험도 비교' 자료를 보면, 12세 이상 백신 2차 접종 완료 군 3696만 2417명 가운데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돌파 감염 사례는 2만 6207명으로, 돌파 감염률은 0.07% 수준이다.
돌파 감염이 위중증화 된 경우는 91명(0.0002%), 돌파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는 25명(0.0001%)에 이른다.
다만 백신 미접종 군 585만 890명 대비 2차 접종 완료 군의 감염 예방효과는 57.0%, 위중증 예방효과는 90.9%, 사망 예방효과는 88.9%다.
한 주간 백신별 접종 현황을 보면,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맞은 사람이 2만 5314명(일평균 3616명), 화이자 백신 350만 7686명(일평균 50만 1098명), 모더나 백신 255만 148명(일평균 36만 4307명), 얀센 백신 6077명(일평균 868명)이다.
코로나 백신 부작용 신고현황 가운데 '일반 이상반응'의 경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신규 178건으로 이상반응 신고율은 0.70%(누적 0.53%)이다. 화이자 백신은 4193건(신고율 0.12%·누적 0.34%), 모더나 백신 2221건(신고율 0.09%·누적 0.53%), 얀센 백신 20건(신고율 0.33%·누적 0.57%)이다.
주요 이상반응'의 경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신규 15건으로, 신고율은 0.0593%이며 누적으로는 0.0233% 수준이다. 화이자 백신은 161건(신고율 0.0046%·누적 0.0102%), 모더나 백신 63건(신고율 0.0025%·누적 0.0074%), 얀센 백신 3건(신고율 0.0494%·누적 0.0208%)이다.
끝으로 코로나 백신 사망자 수를 보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신규 12명으로 사망률은 0.0474%, 누적으로는 0.0019% 수준이다. 화이자 백신은 50명(사망률 0.0014%·누적 0.0010%), 모더나 백신 13명(사망률 0.0005%·누적 0.0005%), 얀센 백신은 없었다. 누적 사망률은 0.0008% 수준이다.
지난 17일 예방접종 피해 조사반 제43차 회의에 따르면, 신규 사망 신고 사례 25건의 연령은 29세부터 90세까지 평균 60.1세였다. 이 중 70%에 가까운 17례에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뇌혈관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었다.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5건), 화이자(12건), 얀센-화이자 교차접종(1건) 및 모더나(7건) 이었다.
신규 중증 신고 사례 34건의 연령은 12세부터 86세까지 평균 52.2세였다. 이 중 60%가 넘는 21례에서 기저질환이 있었고, 접종부터 증상 발생까지는 당일부터 150일까지 평균 16.4일이었다.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6건), 화이자(23건), 모더나(3건)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교차접종(1건), 얀센-모더나 교차접종(1건)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