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포스코, 정부 강제징용 해법발표후 기업서 첫 출연

포스코가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 발표 이후 국내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기부금을 출연했다.

15일 포스코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40억원의 기부금을 납부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정부(외교부)의 강제징용 대법원판결 관련한 입장 발표에 따라 과거 재단에 100억원을 출연하겠다는 약정서에 근거해 남은 40억원을 정부의 발표 취지에 맞게 자발적으로 출연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지난 6일 대법원의 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강제징용 피해자의 판결금과 지연이자를 재단을 통해 지급하며 재원은 민간의 자발적 기여 등을 통해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공식 발표한 바 있다.

이후 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가 국내외 민간 분야에서 재단에 기부 의사를 처음 공개적으로 밝혔고, 최근 납부까지 완료했으나 국내 기업 중에서 기부금 출연은 포스코가 처음이다.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 서울 종로구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연합뉴스 제공]

앞서 포스코는 2012년 이사회 의결을 통해 재단에 100억원을 출연하기로 했으며 2016년과 2017년에 30억원씩 60억원을 출연한 바 있다

포스코는 이에 따라 그간 유보된 잔여 약정액 40억원을 출연함으로써 재단과의 약속을 이행했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는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을 체결하면서 대일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신 5억달러의 경제협력자금을 받았다.

이 가운데 일부가 기업 지원 자금으로 쓰였는데, 대표적인 지원 대상이 당시 포스코의 전신인 포항종합제철이었다. 포항종합제철에는 전체 청구권 자금의 24%에 해당하는 1억1천948만달러가 투입됐다.

청구권자금 수혜 기업은 포스코를 비롯해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 외환은행, 한국전력공사, KT, KT&G, 한국수자원공사 등 16곳에 달한다.

이날 포스코가 기부금 출연에 첫발을 떼면서 나머지 기업들의 동참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민간의 기여가 자발적 성격에 근거한다면서 기부금 출연에 대해 따로 기업과 논의하거나 접촉하지 않겠다고 선을 긋고 있다.

이에 그간 정부의 기부금 출연 요청을 받으면 구체적인 논의에 착수하겠다는 청구권자금 수혜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기부금 출연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일부 공기업은 정부의 세부 지침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고, 일부 민간 기업의 경우에는 정부 요청이 없는 상황에서 기부금을 출연하는 것은 법률적으로 배임 등의 문제가 있다며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