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CES 2025] LG전자, AI 모빌리티 체험 부스 공개

LG전자가 내년 1월 세계 최대의 IT·가전 박람회 ‘CES 2025’에서 AI를 적용한 차세대 모빌리티 기술 ‘인캐빈 센싱’을 직접 체험하는 공간을 운영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를 통해 더 많은 관람객에게 미래 모빌리티 트렌드를 심도 있게 설명하고, 기업 경쟁력을 향상한다는 목표다.

전시장에는 콘셉트 차량이 들어서며, 관람객은 차량 내부에서 가상 운전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이때 인캐빈 센싱 프로그램은 관람객 탑승 순간부터 안전밸트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 표정을 인식해 기쁨·보통·짜증 등의 기분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준다.

또 실시간으로 심박수를 측정하면서 운전 중 갑작스러운 건강 이상 발생 상황 대처 능력도 선보이게 된다.

운행 중 탑승자는 다양한 도로 교통 표지판을 보게 되는데, 탑승자 국적에 따라 AI가 자동으로 표지판을 실시간 번역하는 것도 중요한 퍼포먼스다.

LG전자는 인캐빈 센싱 시스템을 통해 운전자가 시뮬레이션 중 관심 깊게 본 랜드마크와 조형물을 수집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G전자의 인케빈 센싱 체험용 콘셉트 차량 [LG전자 제공]
LG전자의 인케빈 센싱 체험용 콘셉트 차량 [LG전자 제공]

실제로 인캐빈 센싱 솔루션은 여러 기능이 있으나 특히 교통사고 예방이 강화되는데,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DMS’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시선과 머리 움직임을 감지해 졸음운전 여부를 판별한다.

졸음운전이 확인될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고 차량을 멈출 수 있으며, 향후 자율주행 시스템과 연동할 경우 차량을 갓길로 내보내는 등의 적극적인 활동도 가능해진다.

한편 현재 LG전자는 반도체 전문기업 ‘암바렐라’와의 협력을 통해 인캐빈 센싱 알고리즘 고도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적으로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차량을 전면 통제하는 ‘SDV’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LG전자 관계자는 “최근 개발하는 기술로는 한국도로공사와 협력 중인 도로 주행 시뮬레이터 기반 음주 감지 시스템이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운전자와 공감하는 AI 기술을 적용해 안전할 뿐만 아니라 즐거운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tat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