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美정부 "中 화웨이 쓰지말라" 안보동맹국들에 압박 작전

5g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경계심이 안보동맹국들의 기간시설로까지 확대됐다. 중국이 차세대 통신기술인 5G 네트워크에 장비를 공급한 뒤 불법 정보수집이나 통신 방해를 자행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22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모바일, 인터넷업체들이 화웨이가 생산한 장비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설득하는 이례적인 작업에 착수했다.

소식통들은 미국 관리들이 화웨이 장비가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 동맹국의 관리들과 통신업체 임원들에게 사이버안보 우려를 설명했다고 밝혔다.

한국 측에는 별다른 접촉이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SK텔레콤·KT·LG유플러스 이동통신 3사 관계자들은 "미국 정부로부터 화웨이의 사이버 보안 우려와 관련한 내용을 전달받은 적이 없다"고 전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도 "관련 내용을 들은 적이 없다"고 말했다.

WSJ 보도와 관련해 화웨이는 이날 입장 자료를 내고 "(미국 정부의) 이런 행동에 대해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라며 "정부의 행동이 해당 관할 범위를 넘어설 경우 이를 격려하고 용인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어 "화웨이는 전 세계 170여 개 국가에서 글로벌 주요 통신사, 국내외 500대 기업 및 수억 명의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수많은 기업 및 소비자가 화웨이를 선택하는 이유는 화웨이에 대한 신뢰와 그 가치를 인정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화웨이는 "파트너사 및 고객이 객관적인 판단에 따라 정확한 선택을 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현재 세계 각국의 무선, 인터넷 제공업체들은 차세대 통신기술인 5G를 구축하기 위해 관련 장비의 구입을 준비하고 있다.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는 5G 기술은 사물인터넷의 토대이며 생산설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깊숙이 침투할 것으로 예상된다.

WSJ에 따르면 미국 관리들은 중국이 이런 환경에서 화웨이 장비를 통해 불법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거나 통신을 불능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 미국 관리는 "통신 기간시설에 존재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한 우려를 두고 세계 각국과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리는 "5G를 추진하는 곳에 그런 우려를 전한다"며 "5G 네트워크 때문에 사이버 공격에 더 취약해지기에 상황이 더 복잡해진다"고 덧붙였다.

동맹국들을 상대로 한 브리핑의 목적은 공공, 민간 부문을 가리지 않고 화웨이 부품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데 있다고 WSJ은 보도했다.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는 데 대한 미국의 우려는 특히 미군이 주둔하고 있는 국가들에 집중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국방부는 특별히 민감한 통신을 위해 자체 위성통신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군사시설에서 대부분의 통신이 민간의 상업 네트워크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화웨이는 삼성전자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스마트폰을 많이 판매하는 업체로, 휴대전화 기지국이나 인터넷 네트워크 등 현대적 통신을 뒷받침하는 기간시설에 들어가는 부품에서는 세계 선두를 달리고 있다.

WSJ은 미국의 이번 조치가 자국에 화웨이 장비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려는 작전의 전선을 해외로 확장한 것이라고 해설했다.

화웨이는 2012년 미국 의회 보고서에서 염탐이나 통신방해 우려가 있는 국가안보 위협으로 적시된 것을 계기로 미국 시장 접근이 봉쇄된 바 있다.

화웨이와 ZTE 같은 중국의 통신장비업체들은 이미 미국 내에서 블랙리스트에 등재돼 있다.

미국 의회는 연방 공공기관들이 이들 기업으로부터 장비를 사들이는 행위를 금지했다.

통신사인 AT&T와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스는 화웨이 스마트폰을 출시하지 못하도록 했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미국 통신사들이 화웨이와 ZTE로부터 장비를 사는 데 연방정부 보조금을 쓰지 못하도록 하는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