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유통업계 구독경제의 눈독들인다…비대면 시대맞아 시너지 기대

유통업계가 구독 서비스를 도입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대가 불러온 비대면 시대 고객 방문 유도와 매출 증대 시너지 내기에 나섰다.

28일 편의점 세븐일레븐은 전국 7천2백여 점포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자체 원두커피 '세븐카페' 월정액 구독 서비스를 선보였다.

세븐일레븐은 내달 7일까지 세븐일레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세븐카페 2개월(8~9월) 정액권 1천개를 1만원에 판매한다.

구매 시 한 달에 1만원까지 쓸 수 있는 모바일 쿠폰이 발송된다. 뜨거운 아메리카노 레귤러 사이즈 기준 한 달에 최대 8회 이용할 수 있는 금액이다.

세븐일레븐은 '세븐카페'를 시작으로 신선식품과 비식품 등으로 구독 서비스를 확대한다.

세븐일레븐 '세븐카페' [세븐일레븐 제공
세븐일레븐 제공

SPC그룹은 최근 그룹 통합 앱인 '해피앱'에서 파리바게뜨 직영점 30여 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커피와 샌드위치 세트 구독 서비스를 출시했고 CJ푸드빌도 뚜레쥬르의 일부 매장을 대상으로 프리미엄 식빵, 모닝 세트, 커피를 정상가보다 50∼80% 싼 가격으로 제공하는 구독 서비스를 선보였다.

신세계백화점은 강남점 전체 VIP 고객 대상으로 월 구독료 18만원을 내면 제철 과일 3~5종을 매주 목요일 받을 수 있는 과일 정기 구독 서비스를 6월 선보였다.

신세계백화점은 지난 1월 영등포점에서 월 5만원을 내면 메나쥬리 매장에서 인기 빵 5개 중 1개를 매일 가져갈 수 있는 '베이커리 월정액 모델'을 선보인 바 있다.

롯데백화점도 지난해 맞춤형 반찬에 이어 올해 4월부터 빵·와인·커피 구독 서비스를 노원점에서 시범 운영 중이다.

현대백화점도 계열사 현대그린푸드를 통해 정기 구독할 수 있는 '케어식단'을 운영 중이다.

와인 구독 서비스 [롯데백화점 제공
롯데백화점 제공

 

이런 구독 서비스는 고객을 자사에 묶어두는 이른바 '락인'(Lock in) 효과를 노린 것이다.

실제로 이런 효과를 본 유통업체도 있다.

이마트의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는 7천980원을 내면 한 달간 매장 내 T카페에서 매일 커피 한 잔을 마실 수 있는 커피 구독 서비스에 이어 4만5천원(삼성카드 구매시 2만9천800원)을 내면 4주 동안 매주 피자 1판과 콜라 1.5ℓ 페트병을 받을 수 있는 피자 구독 서비스로 확대했다.

이는 커피 구독권을 구매한 고객이 한 달에 평균 12일, 2.5일에 한 번꼴로 트레이더스를 찾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고객 1인당 방문 횟수가 월평균 2회 수준임을 고려하면 커피 구독권을 산 고객이 일반 고객보다 월평균 6배 정도 자주 트레이더스를 방문한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구독 서비스는 브랜드 접근성을 높이고 충성고객을 늘릴 수 있는 대표 차별화 전략 중 하나"라고 말했다.

다른 유통업계 관계자는 "다양한 상품을 경험해보고 싶어 하는 20~30대 고객이 최근 코로나19로 비대면 쇼핑을 선호하게 되자 유통업계가 구독경제에 관심을 보인다"면서 "유통, 식품 등 다양한 업계에서 구독 서비스가 새로운 쇼핑 트렌드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