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서울 아파트 매매 60.4% 전고점 80% 이상 가격 회복

올해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중 60%는 작년 이전 최고가와 비교해 80% 이상 가격이 회복돼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직방은 지난 1∼5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아파트 매매거래를 분석한 결과, 전체 거래 1만4810건 중 전고점의 80% 이상 가격에 거래된 건수는 8939건(60.4%)으로 집계됐다고 10일 밝혔다.

가격대별로 보면 종전 최고가보다 높거나 같은, 100% 이상 가격에 거래된 비중이 9.3%였다.

90% 이상∼100% 미만은 14.5%, 80% 이상∼90% 미만은 36.6%로 각각 집계됐다.

월별로 살펴보면 1월에는 80% 이상 가격에 거래된 비중이 54.5%에 그쳤으나, 2월 57.2%, 3월 59.1%, 4월 63.5%. 5월 66%로 매월 늘어나는 추세다.

70%이상-80%미만 가격선의 거래도 전체거래의 32.1%를 차지했다.

올해 거래량 회복 추세와 함께 거래 가격도 전고점 수준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직방은 분석했다.

자치구별로 거래가 80% 이상을 회복한 비중을 보면 서초구가 90.2%로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용산구 86.1%, 강남구 84.9%, 종로구 82.2%, 마포구 79.8%, 성동구 75%, 중구 73.2%, 양천구 72.9%, 영등포구 72.9%, 송파구 71.8%, 동작구 70.5%, 광진구 70.4% 순이었다.

아파트
[연합뉴스 제공]

특히 종로구와 용산구는 종전 가격보다 비싸거나 같은 가격의 거래 비중이 각각 27.7%, 23.9%로 전체의 20% 이상을 차지했다.

새 아파트와 대형 아파트 선호에 따라 매매거래 가격이 종전 가격을 경신한 것으로 분석된다.

노원구와 도봉구는 80% 이상 가격이 회복한 거래가 30%에 채 미치지 못하며 지역별 거래가격이 상반된 양상을 보였다.

노원구는 전고점 대비 80% 이상 가격에 거래된 비중이 22.1%에 그쳤다.

도봉구(26.2%), 강북구(30.2%), 성북구(42.6%), 관악구(43%), 금천구(48.7%), 구로구(49.7%) 등도 전고점 대비 80% 이상 회복한 거래 비중이 낮은 편이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실 리드는 "올해 저리 대출 등의 영향으로 거래량이 회복하며 서울 아파트값이 일부 전고점 수준에 다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연일 상승하는 전셋값도 실수요를 자극하는 요인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그는 "지역별로 거래가격의 회복이 다른 양상을 보이고, 아직 절대적인 거래량이 적은 데다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전고점 대비 낮은 가격에 거래되며 단지별로 수요 쏠림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며 "물가 상방 압력에 따른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 지방의 미분양 증가, 경기 불안 등의 주택 수요 유입을 제한하는 요소도 상존해 하반기 서울 아파트 시장은 강보합 흐름이 유지되며 입지별 수요 쏠림 현상이 계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2022년 고금리 시장을 견디고 현재 남은 매도자는 하방 압력에 경직성이 강해 시장 급락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또한 서울 아파트는 공급 축소 전망에 따라 희소가치가 높은 단지에 수요가 쏠리고 있다. 당분간 이 같은 움직임은 지속될 전망이다"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