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삼성중공업·한국조선해양 오늘만 25척 수주…신기록 세우는 K-조선

삼성중공업과 한국조선해양이 26일 하루만 25척의 선박을 수주하는 쾌거를 기록했다. 특히 삼성중공업은 단독으로 20척을 수주하며 단일 수주기록으로 세계 최대 기록을 세웠다.

삼성중공업이 파나마 지역 선주로부터 1만5천 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20척을 총 2조8천억원에 수주했다고 26일 공시했다.

외신에 따르면 발주처는 세계 7위 선사인 대만 에버그린으로 알려졌다.

수주한 컨테이너선은 연료 절감기술과 스마트십 솔루션 '에스베슬'이 탑재된 스마트 선박으로, 2025년 6월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은 최근 수주한 수에즈막스(S-max)급 원유 운반선 3척을 포함해 현재까지 총 42척, 51억 달러(5조7천억원)을 수주하며 올해 목표(78억 달러)의 65%를 채웠다.

삼성중공업 컨테이너선 선박 조선소 배 항해 바다
삼성중공업 제공

올해 전 세계에서 발주된 1만2천TEU급 이상 대형 컨테이너선 총 66척 중 삼성중공업은 절반(34척·52%)을 수주해 시장점유율 1위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수주잔고도 258억 달러로 늘어나며 최근 5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올해 들어 해상 물동량 회복과 운임 인상 등으로 발주 환경이 호전되면서 컨테이너선과 원유 운반선을 중심으로 수주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조선해양도 이날 대만 소재 선사인 완하이라인과 1만3천200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5척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들 선박은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돼 2023년 상반기부터 선주사에 인도된다.

이 선박은 질소산화물 저감장치(SCR)가 탑재돼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에 대응할 수 있다.

현대중공업이 건조한 1만4천5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조선소 수주 한조해
한국조선해양 제공

◆ 친환경 선박 발주 증가, K-조선 전망에 긍정적

이런 가운데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도 올 초부터 눈에 띄는 활약을 하고 있다.

세계 1위 업체인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들어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비롯해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초대형 원유 운반선(VLCC),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컨테이너-로로선 등 선종을 가리지 않고 수주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조선해양은 현재까지 총 62척, 54억 달러를 수주해 연간 수주 목표액 150억 달러의 36%를 달성 중이다.

대우조선해양도 이달 초 수주한 LNG 이중연료 추진 VLCC 10척(1조1천억원)을 포함해 현재 총 19척(17억9천만 달러)을 수주해 올해 목표(77억 달러)의 23%를 달성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연초 수주가뭄을 겪었던 것을 고려하면 올해는 연초부터 스타트가 좋았다"면서 "이러한 흐름을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친환경 선박 발주의 증가로 한국 조선의 전망이 밝다.

최근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 강화로 노후선 폐선이 늘고, 친환경 선박 발주가 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이달 15일 기준 올해 발주된 가스추진선(LNG나 LPG 등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 54척 중 40척을 수주하며 74.1%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또 '빅3'와 100척이 넘는 LNG선 건조 슬롯 계약을 맺은 카타르가 조만간 발주를 개시할 가능성이 있어 한국 조선업 호황이 올해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