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기후회의, ‘코펜하겐 협정’ 채택

일부 신흥국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제15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 당사국 총회는 미국과 중국, 인도, 브라질, 남아공 등 5개 국 사이에서 이뤄진 기후변화협정을 공식인정하기로 했다.

총회 의장인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덴마크 총리는 코펜하겐 벨라 센터에서 193개 국이 모두 참여한 가운데 기한을 연장해 밤샘회의를 진행, 19일 오전 7시(현지시간) 정회를 선포하고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주도로 5개국이 채택한 이른바 '코펜하겐 협정'에 '주목(take note)'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총회를 주재한 라스무센 의장은 "코펜하겐 협정에 주목하기로 한 결정을 인정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일부 국가의 반대로 협정이 총회의 승인을 받지는 못했지만, 이 협정을 회의의 공식적인 합의문서로 인정해 법적효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합의 내용이 옮겨지도록 한 것이다. 즉, 협정을 채택했지만 전폭적으로 지지하지는 않겠다는 '어정쩡하지만 일정한 성과를 확보한' 타협안을 끌어낸 셈이다.

이와 관련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이번 합의가 기후변화 대응 문제의 '본질적 시작'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평가한 뒤 "기대했던 모든 것을 이룬 것은 아니다'라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한편, 공식적으로 회의 마지막 날이었던 18일에는 미국과 중국, 인도,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5개국은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감축 합의를 내년 말까지 마련하고자 구체적인 계획과 일정을 담은 합의문 초안을 마련했다.

이 초안에는 지구평균 기온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2℃ 내로 제한하고, 선진국은 내년 1월 말까지 2020년 감축 목표를 제시하는 한편, 개도국은 내년 1월 말까지 실행방안을 담은 감축개획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아울러 국내의 자체적 측정ㆍ보고ㆍ평가(MRV)를 거쳐 2년마다 국가보고서를 제출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또 선진국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총 300억달러를 개도국에 긴급 지원하고 2020년까지 매년 1천억 달러를 지원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이에 대해 유럽연합(EU), 일본, 아프리카연맹, 소도서개도국연합(AOSIS) 등 대다수 회원국은 5개국 합의안이 미흡하지만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복잡한 심경이지만 전진을 위한 첫 발걸음이다. 앞으로 더 먼길이 남았다"며 "내키지 않지만 수용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주제 마누엘 바로수 EU 집행위원장 역시 "EU의 목표에 명백히 미달해 실망스럽다"면서도 반대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베네수엘라, 수단, 투발루 등 일부 국가들은 강력히 반발했다. 특히 수단의 루뭄바 디아핑 대표는 그러나 이 초안을에 대해 '홀로코스트'(나치의 유대인 대량학살)로 비유하며 "유럽에서 600만명을 소각로로 몰아 놓은 것과 같은 가치에 근거한 해결책"이라고 반발했다. 또 그는 "이런 상황이라면 아프리카 주민들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홍수, 가뭄, 산사태, 해수면 상승 등으로 죽음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