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1인당 국민소득 38년새 243배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970년 이후 38년 새 243배로 증가하며 세계에서 가장 높은 증가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1일 새 국민계정 통계 기준에 맞춰, 과거 1970∼1999년의 통계를 변경한 결과를 발표했다. 한은은 국민계정 통계 기준연도를 2000년에서 2005년으로 변경했으며, 추계 방식도 '고정가중법'에서 `연쇄가중법'으로 변경했다.

새로운 통계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 GNI 규모는 1970년 2조8121억원에서 지난해 1천030조6363억원으로 367배나 확대됐다. 미 달러화로 표시한 1970년대 GNI는 82억달러로 세계 82위였지만, 2008년에는 9천347억달러로 세계 15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인당 GNI도 1970년대 9만원에서 지난 해 2천120만원으로 234배나 급증했다. 미 달러로 표시할 경우 1970년대에는 255달러로 세계 119위였지만, 지난해 1만9천231달러 세계 52위로 올랐다.

새로운 통계 기준으로 1971에서 2008년 중 우리나라 연평균 경제성장률(실질 GDP 성장률)은 7.5%로 나타났으며 교역조건 변화를 반영한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8년간 산업구조도 큰 폭으로 개편되면서 명목 GDP 기준으로 서비스업 비중이 1970년 44.3%에서 2008년 60.3%로 확대됐고, 제조업의 비중도 18.5%에서 28.1%로 높아졌다. 반면, 농림어업은 29.1%에서 2.5%로 축소됐다.

GDP에 대한 지출 중 민간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970년대 74.5%에서 1988년 49.1%까지 낮아졌다가 이후 꾸준한 상승전환으로 지난 해 54.5%를 기록했다. 정부 소비지출은 1970년 10.1%에서 2008년 15.3%로 확대됐다.

가계의 소비지출 중 교육과 의료보건 등 서비스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1970년 30.9%에서 작년 58.5%로 크게 높아진 반면, 식료품 등 비내구재와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의 비중은 각각 54.3%와 12.9%에서 25.9%와 7.2%로 떨어졌다.

수출입의 대 GNI 비율은 1970년 이후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으며 지난해 내수경기 위축을 반영, 110.6% 급증했다.

그러나 총 저축률은 80년대 후반까지 가파르게 상승해 1988년 40.4%까지 올랐지만, 이후 다시 하락세로 반전 지난 해에는 30.7%로 추락했다. 민간저축률 역시 1988년 (33.4%)을 정점으로 낮아져 지난 해들어 21.3%로 떨어졌다.

국내총투자율은 1970년 25.4%에서 상승하면서 1990년대 중반까지 40%대에 가까운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그 이후 기업 설비투자 부진 등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지난해 32.2%에 그쳤다.

투자재원 자립도는 1970년 68.3%에서 외환위기 이후 경상수지 흑자 지속으로 총저축액이 국내총투자액을 웃돌아 100을 계속 상회하다 지난해에는 경상수지 적자로 98.4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