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현대車 15년 만에 파업 없이 임단협 타결

현대자동차 노사의 임금협상이 전격 합의돼 15년 만에 무파업 타결을 이끌어냈다.

현대차 노사는 21일 울산공장 아반떼룸에서 대표이사인 강호돈 부사장과 이경훈 금속노조 현대차지부장(노조위원장) 등 노사교섭대표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1차 단체교섭을 갖고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잠정합의안은 ▲기본급 동결 ▲성과급 300% ▲일시금 500만원 ▲무상주 40주 ▲3자녀 학자금 전액 지원 ▲고용보장 확약서 체결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성과급 300%는 평균 600만원에 해당되며, 현대차 주가를 감안하면 근로자 1인당 1천500만~1천600만원씩 받게 된다.

이번 합의안과 관련해 현대차 노조는 23일 조합원 수용 여부를 묻는 찬반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번 합의안이 투표에서 통과될 경우 대규모 정리해고가 있었던 1998년을 제외하고 1987년 노조 설립 이후 22년 만에 첫 기본급 동결이 이뤄진다.

이와 함께 지난 1994년 이후 15년 만에 임단협을 무파업 타결하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현대차 노조는 설립이후 94년을 제외하고 내년 임단협 관련 파업을 벌여왔으며, 지난해까지 11조6682억 원의 매출 손실을 입혔다. 특히 이번 무파업 타결로 대외신인도 회복, 브랜드 이미지 상승 등 무형효과까지 얻을 수 있게 됐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한편, 올해 교섭이 무파업으로 진행될 수 있었던 것은  새 집행부가 협상의 걸림돌이 될 만한 '주간 연속 2교대' 논의를 내년으로 넘기는 등 연내 협상 타결에 대한 의지를 보였기에 가능했다는 평가다.

또한 이번 협상과정에서 임금동결안을 두고 노종쟁의 조정신청까지 갔지만 합리노성의 새 집행부가 조합원의 실리에 중점을 둔 교섭에 집중했기에 가능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장규호 노조 대변인은 "어렵게 잠정합의한 만큼 (찬반 투표에서)조합원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백승권 현대차 홍보팀장은 "회사는 최선을 다했다"라며 "노사가 함께 현실과 미래를 고려해 만든 결과물인 만큼 조합원들의 판단을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