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日 언론 ‘독도문제’에 신중

독도 영유권을 간접적으로 기정사실화한 고교 해설서에 대해 일본의 주요언론이 보도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다만, 일부 우익언론은 해설서에서 독도 영유권을 정면으로 다루지 않았다며 비판을 되풀이 했다.

26일 아사히신문은 "일한(日韓), 우선은 여론 예의주시"라는 제목으로 "일본과 한국 외교당국은 일본 문부과학성이 고교 신학습 지도요령 해설서에 '독도'를 명기하지 않은 것과 관련 여론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한국의 유명한 외교통상부 장관이 주한 일본 대사를 불러 고교 해설서가 일본의 미래세대에게 잘못된 영토의식을 주입해 미래지향적 양국 관계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항의했으나, 이는 한국 정부가 한일 관계에 미칠 영향을 고려한 결과라고 보도했다.

이 처럼 조심스러운 양국 정부의 태도는 이명박 정부 출범 후 시작된 한일 셔틀 정상외교를 이어가려는 움직임이라는 게 신문의 분석이다.

특히 신문은 내년이 한일 강제병합 100주년이기 때문에 일본 정부는 두 나라 외교관계 악화를 피하려는 생각이 강해 오카다 가쓰야(岡田克也) 외상도 한국 여론 추이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공영 방송인 NHK는 전날 오전 발표된 고등학교 교과서 새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대해 사실 위주로 전한 후 추가 보도를 하고 있지 않다. 마이니치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 도쿄신문도 독도 관련 보도를 거의 싣지 않았다.

반면, 극우 신문인 산케이신문은 "다케시마(竹島: 독도의 일본명칭), 고교해설서에 명시 안해"라는 기사를 통해 고교 해설서에서 독도영유권에 대한 직접 언급을 하지 않은 것은 교육정책의 후퇴라고 전했다.

보수지인 요미우리신문도 "고교 해설서에 '다케시마'를 명기하지 않은 것은 한국의 반발을 의식해 문부상과 외상, 관방장관 등 관계 각료가 협의한 결과"라며 "외무성은 일한 관계를 고려해 (문부과학성에) 신중한 기술을 요구했고, 오카다 외무상도 문건작성 프로세스를 협의했다는 점을 인정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