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작년 외환보유액 1천200억弗 부족해

한국금융연구원은 지난해 3월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많게는 1천200억 달러 부족했다고 밝혔다. 또 외환보유액 확충으로 얻는 편인이 외환보유에 따른 비용보다 약 3.5배 큰 것으로 계산돼 앞으로 외환 보유 금액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원은 2일 '외환보유액 관리비용과 필요외환보유액 추정' 보고서에서 우리경제주체가 갖고 있는 총 대외채무 가운데 상황부담이 있는 외채를 중심으로 필요외환보유액을 추산했다.

연구원은 상환부담 외채가 지난해 3월 기준으로 2천323억 달러가 된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환헤지를 위한 차입금 등의 만기 불일치 문제를 감안하면 실질적인 상환부담 외채는 3천269억 달러로 계산됐다.

상환부담 외채를 당시 외환 보유액 263억4천만 달러와 비교하면 1천205억6천만 달러 초과다. 같은 기준으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해 11월 외환보유액 2천708억9천만 달러와 비교했을 때도 역시 560억 달러 정도 모자란 셈이다.

또한 연구원은 외환보유액이 쌓일수록 늘어나는 관리비용이 외환보유를 통해 얻는 편익과 비교하면 감수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2001년에서 2008년까지 실질적인 외환보유 관리비용은 52조2천억 원이지만 글로벌 금융 위기 때 외화 유동성 부족에 따른 국가부도를 모면함으로써 얻은 편익은 180조 원에 달한다는 것이 연구원의 설명이다. 외환보유에 관련된 이익이 비용보다 약 3.5배 큰 셈이다.

아울러 연구원은 외환보유액 운용수익까지 감안하면 외환보유액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외환보유액을 꾸준히 확충하면서 자본 유출입의 급격한 변화에 대비하고 국제적인 금융협력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