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韓 해외자원 개발사업 시동 걸렸다

지난 26일 볼리비아와의 리튬 개발 MOU(양해각서)를 체결한 것을 비롯, 우리나라의 해외자원 개발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우선 STX가 캐나다 가스개발 사업에 뛰어들었다. 해외자원 개발사업은 플랜트, 해외건설 사업과 함께 이 그룹의 주요 미래성장동력 중 하나이기도 하다.

STX에너지는 29일 캐나다 최대 가스전문회사인 엔카나(EnCana)사와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1억5200만 캐나다달러(약 1740억원)에 캐나다 북서부에 위치한 맥사미시(Maxhamish) 가스 생산광구(616㎢)지분 100%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 강덕수 STX그룹 회장과 엔카나(EnCana)의 랜디 에레스만(Randy Eresman) 최고경영자가 악수하고 있다.
▲ 강덕수 STX그룹 회장과 엔카나(EnCana)의 랜디 에레스만(Randy Eresman) 최고경영자가 악수하고 있다.

서울시 면적을 상회하는 맥사미시 광구의 가채 매장량은 1200억 입방피트(석유환산 2083만 배럴)로, 우리나라 전체의 37일분 천연가스 소비량에 해당한다. 일일 생산량은 2050만 입방피트(석유환산 3560배럴)다.

STX는 향후 추가 시추 등 개발을 통해 일일 생산량을 최대 2700만 입방피트(석유환산 4680배럴)까지 증대시켜 나갈 계획이다.

회사측은 해당 광구 지층구조의 특징 및 생산추이로 볼 때 향후 30년 이상 연 평균 4000만 캐나다 달러(약 450억원) 이상의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향후 북미 및 호주 지역에서의 추가 생산광구확보 등 운영권 사업에도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병호 STX에너지 사장은 "이번 인수는 이제까지의 단순 지분 투자 중심의 해외자원 개발방식에서 벗어나 당사가 광구지분 100%를 가지고 유가스전을 직접 경영하는 운영권 사업자로 전면에 나서게 됐다는 점에 의미가 크다"며 "이번 운영권 사업을 계기로 해외자원개발을 보다 주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원동력을 확보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가스공사(KOGAS)도 150억달러 규모의 호주 LNG(액화천연가스) 개발 사업에 대한 투자의사를 내비쳤다.

최근 외신 보도 및 업계에 따르면, 공사는 호주의 에너지 업체인 산토스가 호주 퀸즐랜드주에서 진행 중인 '글래드스톤 LNG 광구 프로젝트'의 지분 10%(15억달러) 가량을 인수하기 위해 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와 관련, 29일 공사 관계자는 "현재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면서도 "투자규모 등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투자가 성사될 경우, 공사는 연간 200만톤 이상의 LNG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협상 결과는 내달 중순 이후 발표될 예정이며, 공사측은 호주 정부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글래드스톤 LNG 광구는 총 150억달러 규모로 오는 2015년부터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주 사업자인 산토스는 개발비용 마련과 재무부담 경감을 위해 오는 10월까지 보유 지분 60% 중 15%를 팔 계획이다. 가스공사 외에도 중국 국영 석유기업인 시노펙 등과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머지 지분 40%는 말레이시아의 국영기업인 페트로나스가 보유하고 있다.

한편, 가스공사는 지난 2월 해외 자원 개발을 위해 올해 1조원 가량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공사는 지난해 2460만톤의 LNG를 사들여 세계 최대 LNG 구매자로 떠오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