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서민들이 공기업을 바라보는 시선이 매섭다. 정부가 운영하는 공기업은 국민의 혈세로 운영되고 있다.
문제는 공기업이 국민의 혈세를 임직원의 성과급, 연봉 등으로 펑펑 쓰고 기업 운영에 쓰여져야 할 곳에 공급하지 않아 부채 증가로 이어진 사실이 드러난 것.
지난달에 마친 국정감사에서 드러난 공기업들의 부채는 평균 몇 십조원에 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정감사가 끝났지만 아직도 이 같은 공기업들의 부채 해결은 큰 숙제로 남고 있다.
금융권 공기업인 한국자산관리공사도 방만 경영으로 서민, 여론, 어야의원들로부터 많은 질타를 받았다.
◆ CEO 최대 연봉, 정직원 비효율적 증가
한국자산관리공사는 금융권 공공기관 중 최고경영자(CEO) 연봉이 제일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달 10일 홍준표 한나라당 의원이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금융권 공공기관 CEO 가운데 가장 많은 연봉을 받은 기관은 한국자산관리공사와 한국기업제이터로 2억9000만원을 받았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기본 연봉이 1억6100만원으로 다른 금융권 공공기관과 같지만 경영평가 성과급 1억2900만원을 합해 총 2억9000만원을 받았다.
이계정 의원(한나라당)이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자산관리공사는 정규직, 계약직, 추심직, 용역직 등 4부류로 구성하고 있는데 그중 정규직의 1인당 평균급여는 지난해 말 기준 5600만원이었다.
캠코의 계약직 평균급여는 4000만원이고 추심직은 3200만원, 용역직은 1000만원에 달했다. 문제는 사업의 외부위탁이 늘고 있음에도 정규직원은 줄지 않고 계속 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자료에 따르면 캠코는 사옥 관리를 외부에 위탁한 뒤로도 캠코 내부에 사옥관리를 담당하던 직원을 감축하지 않아 인사규정 9조 제2항에 어긋나 감가원으로부터 주의조치를 받은 바 있다.
그럼에도 외부에 아웃소싱하는 것은 그 비용만큼을 절감하기 위한 것인데 이를 놓고 인력을 다시 전직시켜 고용한 것이다.
캠코가 채권관리를 위해 한시적으로 운용하고자 했던 계약직 직원을 업무량에 따라 줄어야나가야 했으나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
자산관리공사는 신용카드사 및 상호저축은행에서 인수한 무담채 채권회수를 위해 외부채권추심기관에 채권 회수업무를 1차와 2차로 나눠 위임하고 있어 기존 인력이 남을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 캠코의 직원의 수는 2002년 438명 에서 2004년 498명으로 매년 늘어왔다.
◆ 금융위기 속에도 외유성 해외연수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성남 의원(민주당, 비례대표)이 지난 9일 국회에 제출한 국감 자료에 따르면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로 인해 국내 금융시장이 혼란을 겪는 와중에 자산관리공사는 2007년 30명, 지난해 26명, 올해 16명의 직원을 유럽, 호주, 두바이 등지에 연수를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자산관리공사가 지난 2003년부터 진행해온 해외연수 프로그램 ‘글로벌 챌린저과정’의 일환으로 연수를 다녀왔는데 주요 일정이 열대림 탐험, 번지점프, 유적지 탐방 등으로 이뤄졌다. 이는 포상 성격으로 약 2주 동안 해외여행을 보내준 것이라고 판단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직원들이 제출한 연수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연수는 평균 10박~13박 일정에 1인당 비용은 200만 원~400만 원 수준에 이르렀다.
이번 국감에서 여야 의원들은 금융위기 운운하며 정부에 손 벌리는 자칭 ‘공적기관’이 한편으론 직원들 사기를 올려줘야한다며 1인당 비용이 몇 백만 원에 달하는 해외여행을 보내줬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