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현정 기자] 그리스 통계청장이 구제금융 지원을 받기 위해 재정적자 규모를 부풀려 국가이익을 해쳤다는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재정적자 규모를 국내총생산(GDP)의 13.4%에서 15.8%로 상향조정해 그리스가 구제금융을 받는 전제 조건으로 더 고통스러운 긴축정책을 펼 수 밖에 없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오는 29일(이하 현지시간) 열리는 유럽연합(EU) 재무장관 회의에서 그리스에 대한 1차 구제금융 6차분(80억 유로) 집행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이번 논란이 재무장관 회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8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안드레아스 게오르기우 그리스 통계청장은 2009년 재정적자 규모를 아일랜드보다 부풀려 국가이익에 손해를 끼쳤다는 혐의로 기소됐다.
이와 관련된 청문회는 다음 달 12일 열리며, 혐의가 인정될 경우 종신형을 받을 수 있다.
게오르기우 청장은 20년간 국제통화기금(IMF)에서 근무하다가 지난해 초대 통계청장에 취임했다.
이번 기소는 조 게오르간타 마케도니아 대학 교수의 고발에 따른 것으로, 올해 초 에반겔로스 베니젤로스 재무장관에 의해 그리스 통계청 이사회에서 해고된 인물이다.
그는 "게오르기우 청장이 2009년 재정적자 규모를 국내총생산(GDP)의 13.4%에서 15.8%로 상향조정해 그리스가 고통스러운 긴축정책을 채택하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게오르기우 청장은 '아테네 변호사 연합'에 의해서도 소송을 당했다. 이 단체는 그가 재정 적자를 과장해 그리스의 주권을 훼손했다며 검찰 수사를 요구했다.
이 단체의 한 변호사는 "그리스가 이미 심각한 긴축 프로그램에 착수한 상태였다"면서 "재정 적자 비율이 2.4%포인트 올라가지 않았더라면 더 추가적인 긴축조치는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게오르기우 청장은 통계조작 혐의를 완강히 부인하고 있다.
그는 오히려 "분식회계를 하지 않았다는 혐의로 기소됐다"고 주장했다.
게오르기우 청장은 이전에도 비공식적으로 비슷한 혐의로 조사를 받은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