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올해 하반기 세계경제 성장 아시아 지역이 견인"

[재경일보 이규현 기자] 올해 하반기 세계 경제가 전반적으로 불확실한 상황에서 아시아 지역이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주요 국가별로는 미국은 완만한 속도의 경기 회복세가 계속되고 중국은 연착륙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됐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은 최악의 단계는 벗어났지만 위기 국면이 계속되고 중기적 성장동력이 다소 약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국제금융센터는 11일 발표한 `2012년 하반기 세계 및 주요 국가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이 같이 전망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기업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수출 증가율이 재차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은 지난해 가을 예측한 40%에서 20%로 감소한 상태다.

유로존은 최악의 단계는 벗어났으나 위기 국면이 지속되고 중기적 성장 동력이 다소 약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2012년 유로존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하반기 경기 반등 예상에도 연평균 -0.4%로 마이너스 성장을 계속할 것으로 전망됐다.

아시아 지역은 유럽연합(EU)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기 회복, 일본의 성장 반등 속에 인플레이션 압력이 전반적으로 둔화되면서 일부 국가의 양적 완화 정책이 성장을 이끌고 중산층 확대로 인해 소득이 늘어나 소비자 지출이 확대될 것이기 때문에 성장을 지속하며 세계 경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의 경착륙이 최대 위험 요인이기는 하지만 실현될 가능성은 15-20%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성장세 둔화, 인플레 압력 약화로 통화정책이 점차 완화되고 있다고 진단하고, 단기적으로 연착륙 가능성이 크나 이중경색 리스크는 여전한 편이라고 내다봤다.

대출·부동산 버블로 경착륙할 가능성도 있지만 정부가 급격한 정책적 변화를 취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고 소비자 수요도 채무 위기나 부동산 시장 불안 탓에 위축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일본은 산업생산과 수출이 지진 발생 이전 수준을 밑돌고 있으나 상승세는 이어지고 있다며 지난해 4분기 스태그플레이션 이후 완만한 경제성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했다.

원전 가동 중단으로 전기 공급이 15% 감소했음에도 건축 경기는 올해 회복세로 전환할 것으로 내다봤다. 막대한 정부 채무와 재건 활동으로 인한 정부 재정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이지만 수출이 장기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는 성장이 둔화하고 있으나 더블딥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인플레 압력이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지만 금리 인상, 국내수요 둔화, 원자재 가격 조정 등에 힘입어 내년까지 압력이 약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2011년까지 금융긴축 기조로 경제성장이 다소 둔화했지만, 국내수요 증대가 점차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