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올해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 월급은 255만4000원으로 고졸 사무직 초임보다 69만원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별로는 금융·보험업의 월급이 305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또 유일하게 월급이 300만원선을 넘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전국 100인 이상 542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2년 임금조정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기업규모별로는 직원수 1000명 이상인 대기업이 평균 287만1000원으로 가장 높았고, 500~999명 규모 중견기업은 246만 5000원, 300~499명 규모의 중견기업은 246만2000원, 중소기업(100~299명)은 223만5000원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금융·보험업이 305만6000원으로 평균 월급이 가장 높았다. 다른 업종에 비해 무려 45만원 이상 높았고, 유일한 300만원대였다.
이어 운수·창고·통신업 260만2000원, 제조업 256만7천원, 도·소매업 253만8천원, 건설업 246만5000원 등이 뒤를 이었다.
고졸자들 가운데서는 고졸 사무직이 월평균 187만5000원, 고졸 생산직은 이보다 다소 많은 208만4000원을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대졸 초임대비 고졸 생산직 임금수준은 2008년 78.6%에서 4년 연속 상승하며 올해 81.6%를 기록하는 등 격차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고 경총 측은 전했다.
한편, 올해 임금협상이 타결된 기업들의 평균 임금인상률은 5.1%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3%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은 5.4%의 평균 인상률을 기록했고, 중소기업(100~299명)은 5.0%로 이보다 낮았다.
경총 측은 대선의 영향으로 노동조합의 기대심리가 상승해 교섭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경총의 한 관계자는 "노사간 협상 횟수가 평균 5.7회로 지난해보다 0.4회 늘었다. 협상 기간도 작년보다 0.4개월 증가한 2.2개월로 조사됐다"며 "노조의 임금 인상 요구가 그만큼 많아져 협상이 길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선거가 다가오면 보통 노조에서 높은 임금 인상을 요구하게 된다"며 "대선을 앞둔 올해도 예외가 아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