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절반에 가까운 44.5%가 주택을 소유하지 못한 무주택 가구로 조사됐다. 반면 주택을 2채 이상 보유한 가구는 전년도 대비 10여 만 가구나 늘어, 부동산 부의 편중 현상을 보여줬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주택소유통계 결과'에 따르면, 작년 11월 1일 기준 가구가 소유한 주택은 1천452만6천호로 전년보다 37만5천호(2.6%) 증가했으며, 전체 일반가구 1천936만8천 가구 중에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가구는 1천73만3천 가구로 전체의 55.5%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0.5%포인트(p) 감소를 보였다.
이는 전체 가구의 44.5%는 무주택가구라는 뜻으로, 전년보다 주택 소유 상황이 더 나빠진 것으로 풀이된다.
시·군·구 기준으로 가구의 주택 소유율이 낮은 지역은 서울 관악구(37.7%), 서울 중구(42.1%), 서울 광진구(42.2%) 등이었으며, 울산 북구(66.4%), 인천 동구(65.8%), 부산 북구(64.0%) 등은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비중이 높았다.
세대구성별로 봤을 때 한 부모와 미혼자녀 가구의 주택소유율은 47.4%에 불과했다. 부부 가구(70.7%), 3세대 이상 가구(78.4%)보다 크게 낮았다.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가구 안에서 비교했을 때도 격차는 더 심화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주택을 2건 이상 소유한 가구는 289만3천 가구로, 전년보다 16만8천가구 늘어난 반면, 1건만 소유한 가구는 785만가구로 전년보다 오히려 12만4천가구 줄어들었다.
다주택가구의 거주지역을 보면 이른바 '강남3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2건 이상 소유 가구 비중을 시 지역에서 비교해보면 서울 강남구(36.1%)와 서초구(35.6%)가 나란히 1·2위를 차지했다. 서울 송파구(31.9%)도 8위를 기록했다.
주택자산 가액 기준 10분위 현황을 보면 가치가 높은 주택을 소유한 가구가 그렇지 않은 가구와의 격차를 더욱 확대됐다. 작년 상위 10%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은 8억1천100만원으로, 하위 10% 2천400만원보다 33.79배 높았다.
이러한 격차는 전년보다 좀 더 벌어졌다. 전년 상위 10% 가액은 7억4천300만원, 하위 10%는 2천200만원으로 33.77배였으며, 작년 상위 10% 가구의 평균 소유 주택수는 2.64채로, 하위 10% 0.96채보다 3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분위별 가구주를 거주지역별로 보면 상위 10%가 많은 지역은 서울, 경기, 부산 순이었고, 하위 10%가 많은 지역은 전남, 경북 순이었다.
통계청 은희훈 행정통계과장은 "무주택자 가구가 증가한 것은 최근 1인 가구가 크게 증가한 영향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조사로 작년에 주택 가격이 상승하면서 다주택자들이 늘어났다는 점도 확인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