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아이폰](http://images.jkn.co.kr/data/images/full/925707/image.jpg?w=560)
삼성전자가 3분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과의 매출액, 이익 점유율에서 격차를 크게 좁혔다.
28일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3분기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의 매출액 점유율은 32.0%, 이익 점유율은 69.9%였다. 2위인 삼성전자는 매출액 점유율이 23.1%, 이익 점유율은 21.8%다.
수치만 놓고 보면 애플과 삼성의 격차가 크지만 이전 3분기 수치를 보면 양사의 격차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매출액 점유율 차는 2015년 3분기 15.5%포인트였다가 작년 3분기 13.6%포인트, 올해 3분기 8.9%포인트로 줄었다.
이익 점유율 차는 훨씬 줄어들었다. 2015년 3분기 애플의 이익은 81.3%, 삼성은 14.4%로 66.9%포인트 차이였고 2016년 3분기 점유율은 갤럭시노트7 발화 사태로 애플이 90.6%, 삼성이 0.1%를 차지하면서 격차가 90.5%까지 커졌으나 올해는 양사 이익 점유율 차가 48.1%포인트로 줄었다.
이는 3분기 애플의 신제품 아이폰8이 출시된 이후 결과라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애플의 매출, 이익 점유율은 통상 아이폰 신제품이 본격 판매되는 4분기가 가장 높고 아이폰 신제품이 출시되는 3분기가 2∼3번째로 높다.
삼성전자는 3분기 아이폰8 출시에도 불구 수량 기준 점유율 21.2%로 1위를 유지했다. 애플은 11.4%였다. 북미 시장의 한 축인 캐나다에서도 2015년 2분기 이후 2년 만에 처음으로 애플의 아이폰을 누르고 수량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애플의 3분기 캐나다 시장 점유율은 35%로, 전년 동기 대비 27% 줄었다. 반면 삼성은 35.6%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SA는 "애플은 아이폰X의 출시 지연과 아이폰8의 적은 수요 탓에 상대적으로 저조한 성적을 냈다"며 "삼성은 A시리즈, S 시리즈 등 다양한 제품군으로 지난해 갤럭시노트7 사태를 성공적으로 이겨냈다"고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