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금융투자사업자, 이른바 초대형 투자은행(IB)들의 출현으로 단기 금리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또, 초대형 IB들이 스타트업, 신생기업에 대한 모험자본을 공급할 수 있지만 무리한 투자를 하다가 금융시장 리스크 확대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한국은행은 8일 발표한 '2017년 단기금융시장 리뷰'에서 "초대형 IB들이 원활한 자금 조달을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시하면 시장의 예상을 넘어서는 단기 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초대형 IB는 자본금 3조원 이상 등 일정 기준을 충족한 증권사 가운데 투자은행의 주요 업무인 헤지펀드에 대한 증권대여와 자금 지원, 기업 신용공여 등 업무를 할 수 있는 곳으로 현재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KB증권, 메리츠종합금융증권 등 6곳이 해당된다.
정부는 자본금 규모에 따라 허용되는 신규자금조달 수단을 차별화하는데, 메리츠종합금융증권을 빼고 나머지는 모두 자본금 4조원 이상이어서 어음발행 등 단기금융업도 허용되고 있다. 다만 아직은 한국투자증권만 단기금융업 인가를 받은 상태다.
초대형 IB들이 스타트업, 고수익채권, 4차 산업 업종 등 신생기업, 차세대 성장 산업 등에 투자할 계획이 있는 만큼 제도가 정착하면 생산적 자본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은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반면 사업 확장 과정에서 수익성을 높이고자 리스크 관리에 소홀하면 금융시장 불안 요인이 될 가능성도 있다.
한은은 국내 시장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초대형 IB의 발행 어음을 통한 자금 조달은 단기금융시장의 수급, 금리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초대형 IB 가운데 단기금융업무로 최초로 발행된 한국투자증권 어음의 금리는 2.3%로 금융권 기대 금리(1% 후반)를 상회하기도 했다.
다만 한은은 "이들 사업자가 발행 어음을 통한 자금 조달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며 "당분간 단기 금융시장에 미칠 충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은은 "정책당국은 향후 초대형 IB들의 투자 행태와 리스크, 중소형 증권사의 경영 상황, 단기 금융시장 환경 변화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불확실성 확대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