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IAEA '핵누출 위험' 자포리자 원전 사찰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이 29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키이우에 도착해 심각한 안전 우려를 사는 자포리자 원전을 점검하는 임무에 나섰다.

AP통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중립국 출신이 중심이 된 전문가 13명으로 구성된 지원단을 이끌고 원전으로 떠났다.

우크라이나 정부 내부 문건에 따르면 이번 사찰은 일단 오는 31일 시작해 내달 3일까지 나흘간 이어질 예정이라고 WSJ은 전했다.

IAEA는 이번 주 안에 원전을 방문할 것이라고 성명을 통해 계획을 밝혔다.

그러면서 "시설의 물리적 피해를 확인하고 주 안전·보안 체계와 보조 안전·보안 체계가 제대로 기능하는지 확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찰단은 원전 제어실 인력의 업무 환경을 살펴보고, 핵물질이 평화적인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방침이다.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원전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원전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IAEA에 따르면 현재까지 자포리자 원전에서 방사능 수치 증가가 감지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전쟁 중에 시설이 얼마만큼 파괴됐는지, 그 위험성이 어느 정도인지는 구체적 정보가 전해지고 있지 않다.

그간 IAEA는 각국의 농축 우라늄 사용을 사찰하는 데 주력해왔으나 이번에는 대상이 전장에 있는 거대한 원전단지로 이례적이다.

전문가들은 원전이 전쟁 중에 적국에 점령된 사상 초유의 사태에서 수많은 안전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본다.

WSJ은 전문가들의 말을 빌려 사찰단이 이번 문제를 적절히 해결하는 데 수주가 필요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전직 IAEA 관리인 모건 D. 리비는 WSJ 인터뷰에서 "다른 사찰과는 비교가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방문이 1986년 체르노빌 원전폭발 뒤 이뤄진 사찰 이후 가장 심각한 상황에서 이뤄진 사찰이라고 평가했다.

유럽 최대 규모인 우크라이나의 자포리자 원전은 러시아 침공 직후인 올해 3월부터 러시아군에 장악된 상태다.

원전 운영은 아직 우크라이나 측 에네르고아톰 기술자들이 담당하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교전 속에 일부 시설이 파괴돼 우크라이나를 넘어 유럽까지 해악을 끼칠 방사성 물질 누출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