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체제에 마침표를 찍은 주역이자 옛 소비에트 연방(소련)의 마지막 지도자인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별세했다고 타스, 스푸트니크 통신 등이 보도했다. 향년 91세.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 임상병원은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이 오랜 투병 끝에 이날 저녁 사망했다"고 밝혔다.
1931년 러시아 남서부 스타브로폴에서 태어난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모스크바 국립대 법대를 졸업했다.
젊은 시절부터 공산당에서 활동하면서 출세 가도를 달린 그는 1985년 54세라는 많지 않은 나이에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되면서 권력의 정점에 섰다.
고인은 과거에 미국과 국력을 견줄 만한 강국이었던 소련의 정치·경제 체제에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 집권 이후 전제주의적 사회주의 체계를 바꾸려는 의도로 페레스트로이카(개혁)와 글라스노스트(개방) 정책을 추진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과 소련이 주축이 된 동구권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부터 40여 년간 체제 경쟁을 벌여 왔으나,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이 개혁 정책을 펼치면서 사회주의 세력에 균열이 나기 시작했다.
집권한 해에 곧바로 스위스 제네바에서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과 만난 그는 중거리핵전력조약(INF)을 체결하고, 아프가니스탄에 주둔하던 군대를 철수하는 등 군비 감축에 나섰다.
이어 1989년 민주화 시위가 동유럽 공산주의권 국가를 휩쓸 때 이들 국가에 대한 무력 개입을 정당화한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폐기해 자유를 허용했고, 그해 11월 9일 베를린 장벽 붕괴와 이듬해 동서독 통일을 사실상 용인했다.
특히 그해 12월 몰타에서는 조지 H.W. 부시 당시 미국 대통령과 역사적 담판을 거쳐 반세기 가까이 지속된 냉전의 종식을 공식 선언했다.
회담을 앞두고 소련은 냉전을 지중해에 수장(水葬)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으나, 미국 측은 양국 정상의 친선을 도모하는 자리라며 거리를 두려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회담 직후 미국과 소련 정상은 "세계가 냉전 체제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고 선언했고, 이듬해 미국 워싱턴DC에서 다시 만나 장거리 핵미사일과 화학무기 등을 감축하는 데 합의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노태우 전 대통령이 추진한 북방정책에 호응해 1990년 5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소련 정상으로서는 최초로 한국 정상과 만났고, 그해 9월 한국과 수교를 단행했다.
노 전 대통령과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이후에도 상대국을 방문해 경제 개발과 북한 문제 등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