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한국 부도위험 프랑스보다도 높아져... 리먼 사태때보다 심각

[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우리나라의 국가 부도 위험이 남유럽 악재에 시달리고 있는 프랑스보다도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는 높은 부채 비율과 CDS 프리미엄으로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강등 이후 AAA 등급 국가들 가운데 가장 유력한 강등 후보로 뽑히고 있으며, 최근에는 2,3위 은행의 신용등급이 강등되기도 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각종 대외 악재로 인해 순식간에 프랑스보다 더 위험한 국가가 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제 펀더멘털은 튼튼한 편이지만 금융시장은 현재 1,200원대를 넘보는 원·달러 환율의 가파른 상승세와 1,700선이 무너진 주가 폭락 사태로 3년 전 리먼브러더스 파산 당시보다 더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

25일 증권업계와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 23일 뉴욕시장에서 한국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202bp(1bp=0.01%)로 프랑스의 197bp보다 5bp 높았다.

이로 인해 전날인 22일 205bp를 기록하며 202bp의 프랑스를 추월한 데 이어 격차가 더 벌어지게 됐다.

CDS는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국가 등이 부도가 났을 때 손실을 보상해주는 금융파생상품으로, CDS 프리미엄이 높아졌다는 것은 국가 신용도가 나빠져 국외채권 발행 때 더 많은 비용이 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프랑스의 CDS프리미엄은 우리나라보다 대체로 20∼30bp 높았다. 특히 지난 14일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프랑스 2,3위 은행인 소시에테제네랄과 크레디아그리콜 은행의 신용등급을 한 단계 하향 조정하면서 프랑스의 위험도는 더 악화됐었다.

하지만 최근 각종 대외 악재로 인해 환율이 급등하고 주가가 폭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크게 동요하면서 상황이 완전히 역전됐다. 대외약재에 약한 한국 경제의 취약점이 다시 한 번 드러난 것.

지난 23일 현재 원ㆍ달러 환율은 1166.0원으로 지난달 말의 1066.80원보다 무려 99.20원이나 급상승했다. 미국 신용등급 강등이라는 대형 악재에 시달렸던 8월 한 달 상승폭인 12.30원의 8배 수준이며, 심지어 리먼이 파산보호 신청을 했던 2008년 9월의 1∼23일간 상승폭 60.00원보다도 39.20원이나 높다.

그나마 23일의 환율은 환율급등에 위기의식을 느낀 외환당국이 약 50억달러(시장 추정)가 넘는 달러를 쏟아부으며 시장 개입에 나서 13.80원 떨어진 것일 뿐 당국의 시장 개입이 없었으면 이미 1200원을 훌쩍 넘었을 것이라는 것이 시장의 지배적인 분석이다. 앞으로도 정부가 개입에 나서지 않은 한 1200원대를 돌파하는 것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주가 하락은 더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 23일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에 비해 무려 100포인트가 넘게 빠지며 1697.44를 기록했다. 특히 1700선이 무너져 투자자들은 완전히 패닉상태에 빠졌다. 지난달 1일 종가 2172.31 이후로는 475포인트(21.9%)가 폭락한 것이며, 앞으로 더 폭락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여 암담한 상태다.

이 기간 주가 하락 속도는 리먼 사태가 먼저 반영되기 시작한 2008년 5월 이후보다 훨씬 빠른 추세다. 2008년 5월16일 코스피는 1899.57을 고점으로 하락하기 시작해 리먼 파산 다음 영업일인 9월16일에 1397.42로 마감했다. 이렇게 4개월 만에 502포인트(26.4%)가 빠졌다. 그러나 이번에는 2개월도 안 되는 기간에 21.9%가 하락, 리먼 사태때보다 더 심각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