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세가격 오름폭이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동안 고공행진을 거듭하던 서울 매매시장이 이번주 오름세가 소폭 주춤해진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학군 우수 지역을 비롯한 역세권 단지들의 전세물량은 수요가 몰리면서 이미 매물품귀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17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이번주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오름폭이 소폭 줄어들면서 0.15%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서울 역시 0.22%를 기록했고, 마찬가지로 버블세븐지역과 신도시 지역은 각각 0.31%, 0.10%를 나타냈다. 경기도는 지난주와 비슷하게 0.15%를 기록, 오름세를 지속했고, 나홀로 약세를 띠던 인천은 이번주 0.11%로 반등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였다.
매매시장의 오름폭이 소폭 둔화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번주 전세시장은 지역별로 상승폭을 키우며 강세장을 이었다. 전국 전세가가 0.14% 올랐고, 신도시는 중형(0.18%) 면적대의 오름세가 커지면서 이번주 0.14%가 올랐다. 경기도(0.19%)와 인천(0.09%)은 중형이 각각 0.22%, 0.24%로 강세를 보이면서 전세가격 오름세를 이었다.
이번주 전세시장은 서울의 오름폭이 눈에 띄는 한 주였다. 중형과 대형면적이 각각 0.21%, 0.44%가 오르면서 0.21%의 변동률을 기록, 올 들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다. 지난 1월부터 현재까지 살펴봤을 때는 3.3㎡당 전세가격이 591만 원에서 608만 원으로 뛰어오르며 무려 2.79%가 오른 수치다.
서울 구별로 살펴보면 이번주 서초구가 1.22%로 독보적인 강세를 나타냈고, 그 뒤를 용산구(0.52%), 광진구(0.34%), 동대문구(0.33%), 강동구(0.29%), 강남구(0.28%) 등이다. 반면, 강북구는 -0.06%를 기록, 나홀로 하락세를 보였지만 일부 단지에서 급매물이 거래된 후 전세가격은 다시 오름세로 전환됐다고 일대 중개업자는 말했다.
서초구는 반포동 반포자이 중대형 오름세가 거셌다. 반포동 주홍공인 대표는 “학군 때문에 찾아오는 수요가 대부분인 가운데 지하철 9호선 개통 등 교통여건이 더욱 좋아져 그만큼 찾는 사람이 늘었다”고 말했다.
양재동 우성공인 대표 역시 “방학 기간 동안 움직이려는 임차인들이 찾아오고 있지만 이미 거래가 대부분 이뤄진 탓에 거래될 전세 물량들이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현재 반포동 반포자이 82㎡는 3억8,500만 원에 전세가격이 형성돼 있으며, 양재동 우성아파트의 경우 올 초 2억 원에 거래됐던 102㎡가 2억 4,000만~5,000만 원 선에서 임차계약이 체결되고 있다.
용산구에서는 이촌동 한가람건영2차의 오름폭이 컸다. 올 초만 하더라도 82㎡의 경우 1억 9,000만 원 밑으로 거래됐지만 최근 들어 수요가 이어지면서 2억1,000만 원에 계약이 체결됐다. 142㎡는 주간 4,000만 원이 올라 4억 원에 매물이 나와 있다.
한가람공인 대표는 “이 단지는 이촌역 역세권 아파트인데다 입지적인 장점으로 인근 출퇴근 자들에게 인기가 많다”며 “신혼부부들이 이 일대 아파트 전세를 구한 후 자녀들을 학교까지 보내는 경우가 다반사”라고 말했다.
이밖에 올 초보다 면적별로 2,000만~3,000만 원 정도 전세가가 상향된 광진구에서는 광장동 현대 11차 109㎡(3억 2,500만→3억 4,500만 원)의 오름세가 눈에 띄었고, 동대문구 전농동 SK 79㎡(1억 3,500만→1억 4,500만 원), 강동구 둔촌주공1단지 72㎡(1억 2,500만→1억 5,000만 원) 등도 오름세에 동참했다.
신도시는 평촌이 0.30%로 가장 많이 올랐다. 쌓여 있던 전세물량이 지난 봄부터 소화되기 시작하면서 중소형 면적의 경우 매물이 부족한 상황이다. 매물 부족으로 이 일대 122㎡의 경우 지난 1~2월만 하더라도 2억 2,000만~3,000만 원에 거래됐지만 현재는 2억 7,000만~8,000만 원으로 훌쩍 뛰어 올랐다.
지난달부터 전세거래가 부쩍 이뤄진 중동(0.28%)은 덕유주공2단지 59㎡가 6,750만 원에서 7,400만 원으로, 서해쌍뜨르타운1차 158㎡가 2억 1,000만 원에서 2억 3,000만 원으로 전세가격이 상향됐다. 이밖에 산본(0.23%)에서는 목련우방 한국공영 92㎡(1억 3,500만→1억 4,500만 원)가, 분당(0.09%)에서는 정자동 상록보성 85㎡(1억 4,500만→1억 6,500만 원) 등이 강세를 보였다.
경기도에서는 중소형 위주로 전세거래가 이어진 의왕시와 송파구 및 강동구 전셋값 상승세가 확산된 하남시가 0.89%로 가장 많이 올랐다. 그 뒤를 있는 곳은 과천시(0.80%), 오산시(0.56%), 파주시(0.44%), 양주시(0.28%), 용인시(0.31%)다. 인천은 서구(0.52%), 중구(0.14%), 부평구(0.07%), 동구(0.01%)의 전세가가 오름세를 나타냈고, 그 밖의 지역은 거래 없이 보합세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