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GDP성장은 선진국에 비해 빠르나, 행복지수 등 질적 수준은 하위권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이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제3차 세계포럼을 앞두고 발간한 `OECD 세계포럼의 이해' 책자 등에 따르면 명목 GDP는 국제통화기금(IMF) 집계치 기준 9천291억 달러로 15위에 랭크됐다.
한국의 명목 GDP는 2003년 11위를 기록한 이후 5년간 4계단을 내려와 인도, 브라질, 러시아, 호주에게 밀려지만 수출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자원 빈국이라는 상황을 감안하면 높은 성과로 평가된다.
또한, 인적자원의 궁핍, 자연자원의 고갈, 공해로 인한 손상 등을 반영한 저축률인 순저축(ANS)은 1990년 이후 한국이 5개 연도를 제외하고 잇따라 모두 1위에 올랐다.
그러나 경제적 지표가 선진국 수준에 이르른 것과 대조적으로 삶의 질은 만족스럽지 않은 형편이다.
환경지속성지수(ESI)는 2001~2005년까지 OECD 국가 중 최하위인 29위를 기록했고 행복지수(HPI)는 68위를 차지했다.
또한, ESI를 축약한 지표인 환경평가지수도 2008년 현재 최하위권인 26위에 있다.
'세계포럼의 이해'에 책자는 한국의 1인당 평균소득이 증가하지만 중하위 소득 이하 계층은 고용의 어려움과 물가에 비한 상대적 소득감소와 절대적 수치의 소득감소로 커다란 고통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2000년 이후 OECD국가 중 '근로빈곤'이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
또, 한국사회의 상위 20% 소득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반해, 하위 20%의 소득은 감소하고 있는 만큼 1인당 소득이라는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빈곤층은 고통받을 수 있다고 우려가 되고 있다.
2007년 국내 연구진의 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상대 아동빈곤율도 14.9%로 국제적으로 높은 편이며 GDP 대비 가족급여 비중은 터키와 함께 최하위로 기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