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산후탈모, 엄마는 빠지는 머리카락에 으앙~~

올 봄 귀여운 아들을 출산한 주부 이소영씨(35세)는 매일 아침 머리맡에 수북이 떨어져있는 머리카락을 보며 걱정과 한숨이 쌓여간다. 출산 후 3개월부터 머리가 엄청 빠지기 시작하더니 6개월이 지난 지금도 무서울 정도로 머리가 빠지기 때문이다.

이씨처럼 산후탈모 증세를 호소하는 여성들이 적지않다. 그러나 출산 후 의례히 겪는 일로 치부해 치료 없이 그냥 지나쳐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하지만 산후탈모는 방치할수록 회복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관심과 주의를 요하는 출산 후유증 중 하나이다.

모발은 생장기(약 3-5년), 퇴행기(약 3주), 휴지기(약 3개월)의 과정을 계속 반복한다. 생장기는 모발이 '길이성장' 을 하는 시기인데 생장기가 끝난 모발은 길이 성장을 멈추고 짧은 퇴행기를 거쳐 휴지기에 들어간다. 일반적으로 휴지기 모발은 전체 모발의 약 10%를 차지하는데, 통증을 느끼지 않고 쉽게 잘 빠지는 게 특징이다.

임신을 하게 되면 태반에서 분비되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 수치가 급격하게 증가돼 모낭의 성장을 촉진, 머리카락이 휴지기로 가는 것을 막는다. 때문에 임신 전에는 하루 50 개 정도 정상적으로 빠지던 머리카락이 임신 기간에는 오히려 하루 5∼10개로 적게 빠져 머리숱이 많아지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출산 후에는 이 호르몬이 갑자기 줄어들어 모발이 한꺼번에 휴지기 상태로 넘어가면서 일시적인 탈모 현상이 나타난다. 출산 후 3∼5개월의 산모에서 주로 발생한다.

가로세로한의원 황욱 원장은 "보통 산후탈모는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렇지 못하고 6개월 이상 탈모가 지속되거나, 탈모의 정도가 심하다면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산후탈모가 산후우울증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가족들의 세심한 관심과 배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산후탈모 치료에 있어 환자가 출산한 여성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모유수유에 지장 없이 출산 후 저하된 신체기관을 회복시키고, 자궁을 비롯한 생식기 및 체내에 남아있는 노페물과 어혈을 배출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한방치료도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