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가계부채가 소비부진 주요인…1438억 덜 써

가계부채의 증가가 소비부진의 요인으로 작용해 지난해 1438억 원의 소비를 억제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가계부채가 늘었다고 해서 대규모 부실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경제연구소 신창목 수석연구원은 30일 '가계부채 부실화 위험 진단 및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이라는 보고서에서 1996~2009년의 분기별 소득과 부채 자료를 이용해 회귀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

신 연구원은 "가계부채의 증가는 가계에 부족한 유동성을 공급해 소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반면 채무상환부담을 가중시켜 소비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며 "다른 조건이 같다고 가정했을 때 전자의 경우 금융부채가 1% 증가할 경우 유동성제약 완화로 인한 소비증대 효과가 0.35%인 반면 후자의 경우 채무상환부담 증대로 민간소비는 0.40% 감소한다"고 말했다.

신 연구원은 이를 기반으로 측정한 결과 지난해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억제 효과가 소비증대 효과보다 큰 것으로 판단했다. 즉, 빚을 내 돈을 더 썼다기 보다는 채무상환이 가계에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소비가 되레 줄어든 것이다.

그는 "결과적으로 지난해 민간소비 증가분 1조2400억 원 중 11.6%에 해당하는 금액인 1438억 원의 소비를 억제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신 연구원은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억제 효과가 소비증대 효과를 상회한 것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이후 지난해가 처음"이라며 "외환위기와 금융위기로 인한 소득부진이 채무부담을 가중시켰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가계부채가 늘었다고 해서 대규모 부실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신 연구원은 "주택담보대출의 건전성 지표인 담보인정비율(LTV)이 2008년의 35.97%에서 지난해 34.45%로 하락하는 등 미국(76.6%), 일본(70~80%) 등 주요국보다 낮은 수준"이라며 "LTV 분포에서도 위험도가 높은 LTV 50% 이상의 대출 비중이 2008년의 18.8%에서 16.6%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가계의 금융비용 부담이 갑자기 크게 늘어나지 않도록 가계대출금리의 안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