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韓·美 대북정책 ‘핵안보회의’서 논의될 듯

세계 47개국 정상이 참석하는 제1차 핵안보정상회의가 오는 12~13일(이하, 미 동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다.

이번 회의는 9ㆍ11테러 이후 국제사회의 최대 관심사로 떠오른 핵 테러 방지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지만, 국내 정치권의 관심은 천안함 침몰 사고와 북한의 대남 강경책 선회 등으로 급박하게 돌아가는 한반도 정세의 해법 찾기다.

핵안보 정상회의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4월 체코 프라하 연설에서 핵테러를 국제안보에 대한 최대 위협으로 지목하고 핵안보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한 후 그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열리는 것이다.

이번 정상회의에는 핵물질 보유량, 원전 운영현황 및 도입계획 등을 고려해 미국이 선정한 47개국 및 3개 국제·지역기구가 참여한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오는 13일 오전 9시30분에 열리는 1차 세션에 나란히 옆자리에 앉을 예정이어서 양자간 비공식 대화가 자연스럽게 이뤄질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상이한 핵지위 국가들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을 강조함과 동시에 국제사회에 북핵문제의 조속한 해결 필요성과 이를 위한 공동노력의 중요성을 역설할 계획이다.

양국의 공동 관심사인 북핵과 6자회담 가운데, 북핵은 핵 테러 방지와 관련해 공식석상에서 거론될 여지가 있는 만큼 이 자리에서 두 정상간 물밑 대화의 초점은 북한의 6자회담 복귀 방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양자간 대화에서 의미있는 결론이 도출되느냐 여부는 이 대통령의 귀국 후 대북정책 기조를 통해 확인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 대통령은 한국 원자력 기술의 우수성과 평화적 이용을 위한 노력 등을 홍보함으로써 원자력발전 산업의 수출기반을 확충하는데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즉, 원전 20기를 운영하는 세계 5위의 무사고 원자력 산업국이자 평화이용 모범국임을 국제사회에 알림으로써 UAE 원전수주 이후 고조된 국제사회의 관심을 원자력 산업 발전으로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실제 47개 참가국 가운데 20개 나라가 원전건설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해외 원전수출을 위한 교두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통령은 12일 오전 방미 첫 일정으로 한국전 참전기념비 공원을 방문, 헌화하고 참전용사들과 간담회를 가졌다.